호흡기 > 호흡기 중환자관리 (Respiratory critical care)

급성호흡곤란증후군

기본 개념

급성호흡곤란증후군

  • 기전
    1) Air-Blood-Barrier의 손상, 염증 → 폐포의 대식세포 활성화 → chemokine 분비 → 폐포-모세혈관 장벽 파괴 → 투과성 폐부종 (permeability pulmonary edema)

    2) Type II pneumocyte의 손상 → lung surfactant 분비 장애


    → 전반적인 폐포-모세혈관 장벽의 손상되어 폐포 내에 protein-rich exudate가 차고, 폐의 surfactant 분비가 감소하면서 alveolar compliance가 감소하는 질환

  • 원인

    • Direct lung injury: 폐렴, 흡인, 폐좌상, near drowning, 독성물질 흡인

    • Indirect lung injury: 패혈증, 중증 외상 (다발성 골절, flail chest, 화상), 다량 수혈, 췌장염

  • 진단기준 (모두만족)

    1. 1주 이내 급작스러운 발병

    2. 흉부영상에 양쪽 폐 침윤

    3. 심장 문제, 수액 과다 등 Hydrostatic edema가 원인이 아님

    4. PaO2/FiO2 ≤ 300 mmHg (정상치: 400이상. PaO2가 80은 나와야 하고 대기 호흡 시 FiO2가 0.2 정도임을 생각하자.)


  • 중증도 분류

    • Mild: 200mmHg < PaO2/FiO2 ≤ 300 mmHg with PEEP or CPAP ≥ 5cmH2O

    • Moderate: 200mmHg < PaO2/FiO2 ≤ 300 mmHg with PEEP ≥ 5cmH2O

    • Severe: PaO2/FiO2 ≤ 100 mmHg with PEEP ≥ 5cmH2O

    ** PEEP(Positive end-expiratory pressure): 기계환기 시 호기 말에 걸어주는 양압의 값

  • 치료

    • 원인 치료

    • 기관삽관 및 기계환기

      • Low tidal volume (<6ml/kg): 가장 중요

      • High PEEP (>10mmHg)

      • prone position

      • minimized LA filling pressure (volume overload 되지 않게 주의)

      • early neuromuscular blockade


[1] Harrison 21e, pg.2225~2229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