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성 수면 무호흡 (Obstructive Sleep Apnea)
정의: 상부기도의 폐쇄에 의해 수면 동안 숨이 반복적으로 정지되는 질환
원인: 작은 턱, 혀/편도/목젖 비대, 목의 지방조직 등
진단기준
(1) 밤중 호흡 장애의 증상 (코골이, 무호흡) 이 있거나 수면시간이 충분함에도 주간 졸림증상/피로감이 나타남
(2) 수면다원검사에서 시간당 obstructive apnea/hypopnea episode* (Apnea-hypopnea index, AHI) 가 5회 이상 발생하는 경우 (*10초 이상 호흡이 감소, Saturation 이 3%이상 감소, 수면 중 central arousal이 발생)
** AHI ≥ 15일 경우 (1) 이 없어도 진단 가능수면다원검사 패턴
A: apnea 패턴. 호흡 기류 (flow)가 없이 chest와 abdomen의 움직임만 존재
B: hypopnea 패턴. 호흡에서 flow limitation ( mid-inspiratory flattening)을 보임
합병증
주간 졸림증, 삶의 질 악화
난치성 고혈압 → 교감신경계 항진 및 RAA system 변동으로 인해 발생
심혈관계, 뇌혈관질환, 대사증후군 위험도 증가
치료
체중감량 및 수면 위생 교정 (수면 시간 적정화, supine position 피하기)
비염 치료, 금주, 수면제/opiate 피하기
CPAP: 표준 치료, 가장 효과가 입증된 치료법
[1] Harrison, 21e. pg. 2204-2209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