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 > 폐혈관 질환

패혈성 폐색전증 (Septic pulmonary embolism)

기본 개념

패혈성 폐색전증 (septic pulmonary embolism)

  • 정의: 원발 병소의 감염에서 생성된 감염성 색전이 떨어져 나와 정맥 혈류를 타고 폐혈관으로 이동, 폐실질 조직에 침윤하여 나타나는 임상질환

**감염성 색전이 혈류를 타고 어느 장기를 침범하는 지에 따라 다양한 임상양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 중 폐실질에 침윤한 경우를 SPE라고 부른다. 전신혈류를 타고 뇌, 간, 비장, 신장, 뼈, 눈, 사지 등을 색전할 수 있다. Infective endocarditis의 osler node와 Janeway lesion은 심내막의 감염원이 피부와 사지에 패혈색전증을 일으킨 대표적 예시이다.

  • 주요 원인

    • 정맥 내 카테터 감염/endovascular,endocardiac device 감염

    • 혈전정맥염

    • 감염성 심내막염

    • 피부/연조직 감염, 치주감염

    • septic arthritis

    • iv drug abuse

    → 전신 중 어느 감염도 색전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면역결핍환자의 경우 위험이 높음

  • 임상양상: 급성 호흡곤란, 기침 및 원발병소의 감염에 의한 증상

  • 영상소견

    • CXR: bilateral nodular densities with cavitation

    • CT: multipe cavitating nodules, wedge shaped lesion, feeding vessel sign

      • bilateral nodules with cavitation (orange arrow)

      • feeding vessel sign (yellow arrow): nodule 혈관이 연결되는 소견

      • wedge shaped opacity (blue arrow)

  • 치료

    • 원인질환을 찾고 그에 대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


**2021 KMLE 5교시 28번 문항: chronic alcoholic 및 당뇨환자에서 패혈성 관절염이 적절히 치료되지 않아 septic pulmonary embolism가 발생한 케이스로, 치료로는 패혈성 관절염의 흔한 원인균주인 그람양성균을 커버할 수 있는 항생제를 골라야하는 문제이다. 제시된 CT사진에서는 multiple cavitating nodule과 함께 명확한 feeding vessel sign이 확인되며, 관절 감염이 선행하고 호흡기 증상이 급성으로 발병한 것을 고려했을 때 SPE로 진단하는 것이 적절하다.


pneumatocele은 대부분 s.aureus에 의한 폐렴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며, SPE와는 다른 영상 소견을 보인다.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