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 감기 (common cold)
원인: rhinovirus, human corona virus
증상: 기침, 가래, 콧물, 미열
대증치료 (항생제는 사용하지 않음)
급성 인두염 (Acute pharyngitis)
원인
바이러스 감염: rhinovirus, corona virus, HSV, adenovirus, EBV, HIV
세균 감염: Group A streptococcus (m/c), mycoplasma, pertusiss, C.pneumoniae 등
증상: 인후통, 발열, 연하곤란, 권태감, 두통, 구인두 발적, 편도 비대 등
→ 세균성 인두염의 경우 tonsil에 하얀색/노란색 patchy exudate와 경부 림프절 종대를 흔히 동반하며, 기침을 동반하지 않음
→ 바이러스성 인두염의 경우 tonsilar exudate는 대부분 나타나지 않고 기침을 동반하나, EBV 감염 (infectious mononucleosis)에서는 편도 비대와 삼출물이 두드러지게 나타남
→ 바이러스성 인두염의 경우 원인 바이러스에 따라 결막염, rash, 발진, AST/ALT 증가 등의 호흡기 외 증상도 동반될 수 있음평가: 세균성 인두염의 경우 GAS 감염에 대한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고, 바이러스성 감염은 대개 보존적 치료로 자연 호전된다. 따라서 세균성인지 바이러스성인지 감별하여 항생제 필요성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Modified CENTOR Criteria
Cough absent: 기침을 동반하지 않음 → 1점
Exudate: tonsillar exudate 동반 → 1점
Node: cervical lymphadenopathy 동반 → 1점
Temperature: 체온 > 38도 - 1점
OR: 연령 3-14세 (1점) or 15-44세 (0점) or 45세 이상 (-1점)
→ 3점 이상이면 GAS에 대한 신속항원검사 또는 throat culture 시행 → 양성시 항생제 치료
→ 검사를 시행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경험적 항생제 치료**ASO (항사슬알균 용혈소 O) 항체가 검사는 급성 류마티스열과 급성 사구체신염과 같은 비화농성 합병증을 진단하는데 유용하지만, 급성기 발병 3-8주까지도 최고치에 도달하지 않아 급성 인두편도염 진단에는 유용하지 않음
항생제: amoxicillin 경구 10일간 투여 or Benzathin penicillin G IM 1회
** EBV infection 의한 infectious mononucleosis가 의심될 때는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합병증
GAS에 의한 화농성 합병증: 편도주위 농양, 부비동염, 중이염, Deep neck infection
비화농성 합병증: 류마티스열, 급성 사구체 신염
**GAS pharyngitis (Strep throat) vs Scarlet Fever
→ GAS pharyngitis와 scarlet fever는 모두 GAS infection 감염에 의해 나타나는 질환이나, GAS pharyngitis는 상기도 감염에 국한된 질환이고, scarlet fever는 상기도감염과 함께 GAS 가 체내에서 방출하는 toxin에 의해 특징적인 sandpaper rash, strawberry tongue, pastia’s line 등이 동반되는 질환이다.
[1] 대한감염학회 성인 급성 상기도 감염 항생제 사용지침 권고안 (2017)
인플루엔자 감염
증상: 급성 발현, 전신 증상 선행 (발열, 오한 두통) → 호흡기 증상으로 진행 (기침, 가래)
역학: 비말전파, 가을(11월) 및 봄(4월)에 유행
진단: 구인두/비인두 검체 → 신속 항원 검사/RT-PCR 등
**과거에는 인플루엔자 유행 시기에는 임상증상만으로 진단이 가능했으나, COVID-19유행 이후엔 감별을 위한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치료
증상 48시간 이내 항바이러스제제 투약시 전신증상의 기간 단축
Oseltamivir (경구제제): 생후 2주 이상 가능, 임산부 가능
Zanamivir (흡입제제): 7세 이상 가능, 기관지 경련 및 호흡기능저하가 드물게 보고됨
→ 천식, COPD 환자 등 만성 기도질환 환자, 젖당/유당 알레르기 환자에서 금기Peramivir (정맥 제제): 6개월 이상 가능 (우리나라에서는 18세 이상 성인에서 허가)
**항바이러스제제 투약시 드물게 hallucination 등의 이상반응이 보고됨
증상 발현 시간과 관계없이 항바이러스제 투여가 필요한 경우
입원한 환자
중증/합병증동반/진행하는 질환
합병증 위험이 높은 환자군: 65세 이상, 2세 미만, 천식, 만성 폐질환, 신경학적 질환, 기저질환 (심혈관질환, 당뇨, 신장질환, 간질환, 대사이상질환, BMI>40), 19세 미만이면서 장기간 아스피린 복용중인 환자, 면역결핍환자, 뇌경색 과거력, 임산부/출산 후 2주 이내, 요양병원 거주 등
합병증
Secondary bacterial pneumonia
인플루엔자 감염 후 이차적으로 세균성 폐렴이 발생하는 경우
S.pneumoniae, S.aureus 가 가장 흔한 원인균
1차 항생제로는 ampicillin/sulbactam, amoxicillin/clavulanate, 3세대 cephalosporin, respiratory quinolone을 선택
Influenza pneumonia
인플루엔자 감염이 진행하여 하기도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
호흡곤란, 저산소혈증, 영상 검사에서 GGO/consolidation 등이 동반
항바이러스제 투약 및 보존적 치료
[1] CDC Influenza guideline for clinicians: antiviral medications
[2] 질병관리청 2023-2024절기 인플루엔자 관리지침
[3] 중증인플루엔자 치료지침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