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 > 호흡기 감염질환

침습 폐 아스페르길루스증 (Invasive pulmonary aspergillosis, IPA)

기본 개념

폐 아스페르길루스 감염

폐의 aspergillus infection은 IPA, CCPA, aspergilloma, ABPA로 구분되어 나타날 수 있다. ABPA는 호산구성 폐렴 단원에서, Aspergilloma는 객혈 단원에서 다룬 바 있다. 현 단원에서는 Invasive pulmonary aspergillosis에 대해 다룰 예정이다.

Invasive pulmonary aspergillosis (IPA)

  • 정의: Aspergillus 곰팡이균에 의해 폐 실질의 감염이 발생하는 질환, 면역이 정상인 환자에서는 나타나지 않으며 항암치료 환자나 장기이식 환자 등의 면역저하자에서 나타나는 기회감염

  • 분류

    • 혈관을 침범하는 Angioinvasive disease

    • 기도를 침범하는 Airway invasive disease

  • 임상양상: 발열, 기침, 흉통, 객담, 호흡곤란 등

  • 영상소견
    → Nodular density가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소견이며, halo sign 또는 reverse halo sign이 동반될 수 있음.

    • Halo sign: consolidation 주위를 GGO가 감싸고 있는 소견

    • Reverse halo sign: nodule 내부에 central GGO를 보이는 소견

    → 이외에도 patchy consolidation/GGO 및 Hypodense sign 이 보일 수 있으며 airway invasive disease 경우 tree-in bud appearance 나타날 수 있음

    • Hypodense sign: consolidation 내부에 hypodense한 necrosis가 보이는 소견

  • 진단

    • serum / BAL fluid galactomannan → 진단에 가장 정확한 검사

    • PCR

    ** Beta - D - Glucan → 진균감염을 시사하나 aspergillus에 특이적인 검사는 아님

    ** Aspergillus 항체검사 → ABPA 및 aspergilloma의 진단에는 유용하지만, 면역약화상태의 고위험 환자군에서는 면역반응이 저하되어있기 때문에 Invasive aspergilosis에서는 진단적 치가 낮음

  • 치료

    • 1차 치료: voriconazole

    • 대체 약물: Amphotericin B, isavuconazole


**2022 ACM 2차 1교시 34번 문항 참고


[1] Practice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Aspergillosis: 2016 Update by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2] Guidance on Imaging for Invasive Pulmonary Aspergillosis and Mucormycosis: From the Imaging Working Group for the Revision and Update of the Consensus Definitions of Fungal Disease from the EORTC/MSGERC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