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간담췌) > 간종양

간세포암 (HCC)

기본 개념

간세포암 (HCC)

  • 병인 : 간경화, HBV, HCV, 알코올성 간질환 등

  • 종양표지자: AFP > 200, PIVKA-2 (5cm이상의 간암 종양 표지자)

  • 선별검사 : 간세포암종 고위험군(만성 B&C형 간염, 간경변증)에서 6개월마다 US, AFP

  • 영상검사 : 간세포암종 고위험군 환자 추적검사 중 새로 발견된 1cm이상 결절에 대해 역동적 조영 증강 CT / MRI 를 시행

  • 진단 : 영상검사에서 전형적인 영상 소견을 보이면 진단

    • 동맥기 조영증강 → 문맥기/지연기 조영제 씻김 현상 (arterial hyperenhancement, portal/delayed washout)

  • 치료 전 평가 :

    • Child-Pugh Score

    • ECOG 수행능력

    • Indocyanine Green 15분 정체율(ICG-R15)
      : 간절제의 안정성 평가,
      ICG-R15 값이 10~14% 이내일 때 간절제가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음

    • Milan criteria (간 이식 가능성 평가)

      • [간세포암 병변 1개, 크기≤ 5cm] 또는 [간세포암 병변 3개 이하, 크기≤ 3cm]

      • 간외 전이 및 혈관 침범 없음

  • 치료

    • Child A, 문맥압 항진증&고빌리루빈증 X, 간에 국한된 단일 암종: 간절제

    • 간절제가 불가능하면서 Milan criteria 충족 : 간이식

      • 간이식의 적응증에 해당하지만 이식 대기가 긴 경우 : 고주파열치료 / TACE 등의 국소적 치료를 먼저 시행

      • 간이식 적응증을 벗어나는 간세포암종 환자에서 국소 치료(고주파열치료, TACE 등)에 의해 밀란 척도 이내로 병기감소를 보이면 간이식 시도 가능

    • 간절제, 간이식, 국소치료를 적용하기 어려움 & 전신수행상태 양호& 혈관침범 및 간외전이 없음 : TACE

    • 수술 or 국소치료의 적응증이 아닌경우 (혈관 침범 / 림프절 전이 / 간외 전이 등): 전신 항암치료
      Child A: 소라페닙이 과거에 간세포암종의 1st line systemic therapy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아테졸리주맙 - 베바시주맙 병용요법 또는 더발루맙 - 트레멜리무밥 병용요법이 1차 치료제로 권고된다.
      Child B: 전신 항암치료가 필요하나 Child B를 보이는 환자에서는 소라페닙 사용을 고려한다.

[1] Sabiston 21e, pg.1465-1471

[2]2022 간세포암종 진료 가이드라인(대한간암학회-국립암센터), pg.29-126

[3] BCLC staging and treatment strategy in 2022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