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간담췌) > 담낭 질환

담낭암

기본 개념

담낭암 (Gallbladder cancer)

  • 위험인자: 담낭의 만성 자극

    • 담석증

    • AUPBD

    • 석회화 담낭

    • 담낭 용종 ≥10mm

    • choledochal cyst

  • 임상양상

    • 초기엔 무증상(m/c)

    • 진행된 병기에서는 Courvoirsier’s sign (무통성 RUQ mass), 체중감소, 황달 및 비특이적 임상증상

    • 종양표지자: CEA, CA 19-9

    **담낭암이 진단되는 과정에는 다음 네가지 상황이 존재한다.

    • 담낭 용종으로 담낭절제를 시행한 후 병리학적으로 진단

    • 담낭절제 후 우연히 진단

    • 수술 전 검사에서 담낭암이 의심되는 경우

    • 증상 발현 시 이미 진행된 단계를 보이는 경우

  • 진단 : 초음파, CT, MRI (intraluminal mass, asymmetric mural thickening, mass replacing GB)

    (좌) intraluminal polypoid GB wall mass without extraluminal extension

    (우) intraluminal polypoid GB wall mass with loss of continuity of GB wall, suggesting extraluminal growth

    (좌) GB cancer invading duodenum and liver parenchyma

    (우) GB cancer invading portal vein


    asymmetric enhancing wall thickening


    huge infiltrating mass replacing GB

  • 병기

  • 치료: 완전한 외과적 절제가 근치적 치료

    • T1a: 단순 담낭절제술

    • T1b 이상: 확대 담낭절제술 (담낭절제, 주변 간실질의 쐐기절제 또는 IVb/V segmentectomy, 주변림프절절제)
      **주변림프절절제: Hepatoduodenal ligament 주변 림프절 (담낭관림프절, 총담관 림프절, 간동맥 림프절, 문맥림프절), 문맥대정맥 림프절, 췌십이지장 후상부 림프절

    • 근치적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 항암요법, 고식적 치료, 비근치적 완화수술,

    • 단순 담낭절제술 후 우연히 발견된 담낭암

      • T1a, margin negative: 경과관찰 (추가 수술 필요하지 않음)

      • T1b 이상 or [T1a & margin positive]: 확대담낭절제 추가 시행

      • Cystic duct node positive: 확대담낭절제 ± neoadjuvant 항암

  • 보조치료

    • T1b 이상의 담낭암에서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 (gemcitabine + cisplatin) 권고

    • 절제불가 담낭암에서 gemcitabine + cisplatin + durvalumab 을 표준 치료로 권고

    • 방사선 치료는 아직 담낭암에서 표준적 역할이 명확하지 않음


[1] Sabiston 21e, pg.1516-1519

[2] 2025 NCCN guideline, Gallbaldder cancer

[3] Biliary tract cancer: ESMO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diagnosis, treatment and follo-up. 2022

[4] Adjuvant Therapy for Resected Biliary Tract Cancer: ASCO Clinical Practice Guideline, 2019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