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분비 > 뇌하수체 전엽 질환

뇌하수체저하증

기본 개념

뇌하수체저하증

  •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의 불충분한 생산으로 인해 발생

  • 선천적 원인: 뇌하수체 이형성증(무형성, 형성 저하 또는 이소성 발생 등),

  • 후천적 원인: 방사선 손상, 뇌하수체중풍 (산후-Sheehan 증후군 등),뇌하수체졸중(Pituitary apoplexy) 등

  • 증상: 어떤 호르몬 결핍과 그 정도에 따라 달라짐

    • 생식샘자극호르몬 결핍: 생리불순, 성기능저하 및 불임 등

    • TSH 결핍: 성장부전(소아), 갑상샘저하증 양상(추위불내성 등)

    • ACTH 결핍: 저코티솔혈증 (허약, 무기력, 저혈당 등)

  • 검사: 복합뇌하수체 자극검사

    • Insulin부하 검사 → insulin-induced hypoglycemia → GH, 혈당, ACTH 측정

      • 혈당 <40mg/dL에서 GH >3 ug/L여야 정상

      • 코티졸이 7보다 더 증가 또는 20보다커야 정상)

    • 기저 갑상샘 기능 검사 (T4, T3, TSH): T3, T4감소에도 TSH 증가안되었다면 뇌하수체 부전 의심.

    • TRH 투여 후 → TSH, PRL측정

    • GnRH 투여 후 → LH, FSH 측정

  • 치료: 결핍 호르몬 보충

    • 투여순서: Glucocorticoid → 갑상샘호르몬 → 성호르몬

뇌하수체졸중 (Pituitary apoplexy)

  • 뇌하수체(주로 종양)에서 갑작스런 출혈로 인한 응급질환

  • 증상 : 갑작스런 심한 두통, 의식저하, 시야장애, 저혈압 등

  • 치료

    • 응급 수술 : 심한 시력저하, 뇌신경 마비, 의식저하

    • 반드시 모두 고용량 Hydrocortisone 투여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