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eralocorticoid 과잉 개요
임상양상:
저칼륨혈증 고혈압 (바터 증후군, 지텔만 증후군만 정상혈압)
근위부 근육병, 저칼륨 마비증상
대사성 알칼리증
광물코르티코이드 과잉 시사하는 소견 (의심)
고혈압 환자인데 3가지 초과 약제 사용함에도 심한 고혈압
저칼륨혈증
부신종물
40세 이전 고혈압 또는 뇌혈관질환 발생한 가족력
광물코르티코이드 과다의 원인들
광물코르티코이드 과잉 의심시 알고리즘
일차성 알도스테론증
부신피질(zona glomerulosa)에서 RAAS와 무관하게 aldosterone 분비가 부적절하게 증가 (원인이 부신)
임상양상: 고혈압, hypoK(근력약화), 부종 X, hypoCa(tetany)
검사소견
혈청 알도스테론 증가
저칼륨혈증, hypokalemic metabolic alkalosis
진단
선별 검사: 혈청 알도스테론/레닌 활성비 증가 ( >30)
확진 검사: 생리식염수 부하 검사
2-4L 식염수 투여후 알도스테론 분비억제 X ( <5ng/dL)
다른 확진검사: 경구나트륨부하검사, 플루드로코티손 억제검사
원인 감별 검사: 복부 CT, 부신정맥 채혈 → 종양 위치확인
치료
Unilateral adrenal adenoma (Conn’s syndrome)
복강경 부신절제술 (TOC)
Spironolactone (보조치료)
Bilateral adrenal hyperplasia
약물치료 (TOC) : Spironolactone
부신선종과 양측성 부신증식증 비교
이차성 알도스테론증
부신 이외의 원인으로 RAAS 활성화되어 레닌 상승, 알도스테론 상승 (모두 상승)
원인: 신동맥협착증, 신증후군, 간경화, 심부전, 바터 증후군 (부종 x, HTN x, 저칼륨 알칼리증), 이뇨제 (Thiazid, furosemide) 등
치료: 원인질환 치료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