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대사증후군 진단
1) 비만
진단: 체질량지수 (BMI) ≥25 kg/m2
2) 대사증후군 진단: 3가지 이상 만족
허리둘레 : 남자 ≥90cm, 여자 ≥85cm
혈압 ≥ 130/85 mmHg (약복용 포함)
공복 혈당 ≥100 (약복용 포함)
공복 TG ≥150 (약복용 포함)
HDL : 남자 ≤40, 여자 ≤50
출처: 비만 임상진료지침 2022
비만 치료
생활습관개선 : 운동, 식이요법
약물 치료제
Orlistat: (지질흡수억제제) Lipase 작용 억제
Liraglutide(GLP-1 Rc agonist): (식욕감소제) 위배출속도 감소, 식욕감소
Naltrexone/bupropion: (식욕감소제)
Bupropion : NE, D 재흡수 억제 → 시상하부 POMC 활성화 → 식욕억제
Naltrexone : 체중감소 억제하는 opioid 수용체에 길항체, Bupropion의 POMC 활성화 더 증가시킴
Phentermine/topiramate: (식욕감소제)
Phentermine : CNS에서 NE분비 증가 → 식사섭취량 감소
수술 (수술별 특징은 외과 강의록 참고)
섭취 제한 수술: 위소매절제술, 조절형위밴드술
흡수 억제 수술: 담췌우회술, 십이지장전환술
복합 수술 (섭취제한 + 흡수억제): 루와이위우회술
출처: 비만 임상진료지침 2022
비만 약물치료 금기증 및 선택
1) Liraglutide(GLP-1 Rc. Agonist)
식욕억제제
금기 : 담석, 만성신질환, 간기능장애, 췌장염, (갑상선수질암, MEN2 등)
2) Orlistat
지방흡수억제제
금기 : 요로결석, 담석, 간기능장애
3) Naltrexone/bupropion’
식욕억제제
금기 :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만성신질환, 간기능장애, 우울증, 녹내장
4) Phentermine/topiramate
식욕억제제
금기 : 관상동맥질환, 만성신질환, 간기능장애, 우울증, 녹내장
출처: 비만 임상진료지침 2022
비만 수술법들의 장단점
다음은 비만 수술법 마다의 장단점 서술한 내용이다. 국시에서나 전공의 시험에서는 아직 출제된 적은 없으니 참고만 하자.
출처: 비만 임상진료지침 2022
1) 조절형위밴드술
조절형 밴드를 거치, 15-20 mL 용적의 작은 위주머니를 형성하여 식사를 제한한 술식, 완전 가역적
체내 삽입한 이물질로 인한 합병증 상대적으로 빈번하여, 최근 시행 급감
2) 위소매절제술
위를 수직 방향을 따라 약 80%를 절제, 용적을 감소시켜 식사 제한, 비가역적 수술방법
수술 후 위식도 역류 질환 발생 및 악화 가능성, 장기 추적 시 체중 재증가 발생 빈도 상대적 높은 편
3) 담췌우회술/십이지장전환술
위소매절제술 후 유문을 보존한 상태에서 십이지장과 회장을 문합하여 공장 전체와 상부 회장을 우회하여 식사 제한과 흡수 제한을 같이 유도, 부분가역적인 수술법
효과 가장 좋으나 단백질, 미량 영양소 결핍이 빈번, 평생 결핍 가능한 영양소의 보충 섭취가 필요
4) 루와이위우회술
약 30 mL 용적의 작은 위주머니를 형성하고 잔여 위와 상부 소장 일부를 우회하여 식사를 제한하고 일부 흡수 제한도 유도, 부분 가역적인 수술
효과 좋으나, 우회된 위에 대한 정기적 내시경 검진이 어렵고, 덤핑증후군과 변연부 궤양의 발생 위험.
미량 원소 결핍이 발생해 주기적 검사 및 보충 필요
출처: 비만 임상진료지침 2022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