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 > 외과적 합병증

수술 후 기타 합병증

기본 개념

수술 후 기타 합병증

[CO2 공기배증]

  • 복강경 수술 시 CO2 가스를 복강 내 주입하여 기복증을 유도하는데, 수술을 마치면서 가스를 제거하지만 잔여 가스가 남아있을 수 있다.

  • 증상: 복부 팽만감, 불편감, 어깨통증

  • 영상검사: subdiaphragmatic free air, cupola sign 등 pneumoperitoneum이 확인

  • 처치

    • 대부분 경과관찰 하면 5-7일 내 가스가 자연 흡수됨

    •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 촬영을 시행하여 가스가 사라지지 않거나 오히려 늘어나는 경우엔 위장관 천공을 의심


[일측성 사지 부종]

  • 심부정맥혈전증

  • 림프부종


[지방색전증]

  • 정의: 지방조직이 혈류 내로 유입되어 폐, 뇌, 피부, 신장, 망막 등의 미세혈관을 기계적으로 막으면서 나타나는 질환

  • 원인: 주로 다발성 골절/ 장골(long bone) 골절 후 2-3일 내 발생 (골수 내의 지방조직이 유출)

  • 임상양상

    • Triad : 피부 점상 출혈, 의식저하, 호흡곤란

    • Chest CT: 양측성 heterogenous GGO

    • 망막출혈

    • DIC

  • 처치 : 보존적 치료 (산소공급, 기계호흡, 수액요법)

급성 구획 증후군

  • 정의: 근막으로 둘러싸인 구획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면서 구획 내 구조물에 혈류 공급이 차단되는 질환

  • 원인: muscle injury로 인한 조직부종 (trauma, post-ischemic reperfusion injury, burn), hematoma, DVT 등

  • 증상

    • 5P (pain, pallor, paralysis, paresthesia, pulseless)
      compartment를 지나는 신경의 감각영역에서 통증과 light touch sensation이 저하되며 점진적인 감각저하와 근력저하가 나타남

    • 수동 신전 시 통증 악화 (pain on passive ROM)

    • 해당 구획이 팽팽하게 만져짐

  • 처치

    • 임상적으로 강력히 의심되는 경우 (맥박 없음, 수동 신전시 통증 악화, 손상범위보다 훨씬 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 응급 근막절개 (emergent fasciotomy)

    • 환자가 의식이 없거나 마취/기관삽관/신경학적 손상 등의 이유로 통증 호소가 어렵고 구획증후군위험이 높은 환자 → 조직 구획압 측정 (정상 0-9mmHg)

      • ΔP (dBP-조직구획압) < 30mmHg 또는 조직 구획압 > 25~30mmHg → 응급 근막절개

      • ΔP ≥ 30mmHg 또는 조직구획압< 25mmHg → 시간차를 두고 반복 조직압 측정


[1] Sabiston 21e. pg. 461-463, 1800-1801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