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UI, IVF, ICSI
[용어]
Intrauterine insemination (IUI, 인공수정): 자궁강 내 정액주입
In vitro fertilization - embryo transfer (IVF-ET, 체외수정 - 배아이식): 체외에서 난자와 정자를 수정, 배양한 후 배아를 자궁 내 이식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ICSI, 세포질 내 정자 주입): 피펫으로 정자 1개를 난자의 세포 내로 직접 주입하여 수정.
IVF-ET 와 ICSI를 통틀어서 보조생식기술(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이라고 부른다.
적응증
자궁강 내 정액주입(IUI): 난관이 intact 해야 가능
설명되지 않는 불임 치료에 우선적으로 시도
자궁경관 요인 불임
체외수정 & 배아이식 (IVF&ET)
난관 요인 불임
IUI 실패
남성인자, 자궁내막증, 원인 불명의 불임 등
세포질내정자주입 (ICSI)
정자를 부고환이나 고환에서 채취한 경우 (이 경우 정자가 희소하여 IVF 대신 ICSI를 진행한다)
중증 남성요인
TMSC 200만 이하
<5% 운동성
IVF 실패
척수손상, 사정장애, 역방향사정
HIV 양성자인 남성 (정액내 바이러스가 난자에 노출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난소기능저하 / 동결보존된 정자,난자 / 미숙난자
중증 자궁내막증
[1] 부인과학 6판. pg. 600,604-605
보조생식기술 (ART)
시행순서
과배란 유도 및 감시
난자 채취
체외수정 (IVF 또는 ICSI)
배아 배양/평가
배아 이식
황체기 보강
임신반응검사, 산전관리
과배란유도 방법 (예시)
배란 1주일 후부터 GnRH agonist (leuprolide, buserelin, triptorelin) 투여 시작
: 난자채취 전 배란 방지 목적 (GnRH 투여로 인해 HPO axis가 downregulation되며 내인성 gonadotropin 분비를 억제하고 LH의 조기 급증과 조기 배란을 예방함)
** 월경주기가 불규칙한 경우 경구피임약 전처치를 시행하는 경우도 있음. 경구피임약 중단 1주 전에 GnRH agonist 투약 시작7일 후 Gonadotropin (r-FSH / hMG) 투여 시작.
: 다수의 난포 성장 목적초음파 및 혈중 에스트로겐 추적관찰
3개 이상의 난포가 17mm 이상으로 커진 시점에 hCG를 투여
: 난포 성숙이 충분히 이루어졌다고 판단된 상황에서 마지막 단계의 난포 발달 자극 목적hCG 투여 36시간 후 난자를 채취
3-5일 후 배아 이식
황체기 보강 (IVF 시에는 비생리학적 난소 자극으로 인해 황체기 동안 충분하지 않은 프로게스테론 생산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착상 및 임신 유지를 지원하기 위해 황체기 보강이 필요)
: 난자 채취 당일 저녁부터 난자 채취 후 3일 이내 프로게스테론 투여 시작, 임신이 확인된 경우 임신 6-10주까지 유지 (프로게스테론 오일 근주, 질크림, 질정)
*참고
불임 영역에서 사용되는 “배란 유도(ovarian induction)”와, “과배란 유도(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는 서로 다른 용어이다. 배란 유도는 무배란/희발배란에서 약제(clomiphene, letrozole,gonadotropin 등)를 사용하여 정상 배란을 유도하는 과정이다. 한편, 과배란유도는 인공적으로 호르몬을 주사하여 다수의 난포를 성숙시키고, 많은 수의 난자를 얻는 방식이다.
[1] 부인과학 6판. pg. 594-603
[2] Berek and Novak’s Gynecology, 16e. pg. 2280-2294
[3] Williams Gynecology, 4e. pg.
동결 보존 (Cryo-preservation)
동결 보존은 가임능력을 보존해야하는 상황에서 고려할 수 있으며, 대개 악성 종양의 치료/부인과적 질환 치료 후 이른 나이에 난소 기능 소실의 염려가 있는 환자에서 고려해볼 수 있다.
배아 동결
보관기년 5년, 현재까지 가장 근거가 많이 정립된 치료 방법
체외 수정 주기에서 배아이식 후 잉여 배아를 동결, 보존하였다가 추후 해동하여 또 이식할 수도 있음
과배란 후 환자의 상태가 배아 이식에 부적합할 경우 (난소과자극증후군의 심각한 부작용이 우려될 경우, 초음파에서 자궁 내막이 얇은 경우, 자궁 경부의 심한 협착, 발열 등) 동결, 보존하였다가 상태 호전되면 이식할 수 있음
미혼인 경우 시행이 어렵고, 여러 윤리적 문제가 있음
난자 동결
조기난소부전 / 결혼이 늦어지는 미혼 여성에서 고려 가능
법적, 윤리적 문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움
난자의 동결보존 기간이나 장기보존결과 데이터는 충분하지 않음. 배아 동결보존에 대한 대안으로 시행해볼 수 있음
난소 조직의 동결 보존 (환자가 완치됐거나 질병의 치료가 끝난 뒤 동결 보존된 난소 조직을 이식한다)
사춘기 전 여성의 가임력 보존을 위한 유일한 방법
시간 지체 없이 항암치료가 필요한 유방암 환자에서 선택적으로 고려
BRCA 돌연변이(난소암의 위험 증가)가 있는 환자에서는 권장하지 않음. 동결 보존된 난소 조직에 암세포가 존재하는 경우 이식 금기
단순히 임신을 미루거나, 임신력 보존 수술이 가능한 양성 질환에서는 시도해서는 안됨.
*난소 전위술 (Ovarian transposition)
난소 주위 방사선 치료를 앞둔 환자에서, 난소를 수술적으로 이동시켜 방사선치료로 인한 난소 손상을 예방하는 수술.
[1] 부인과학 6판. pg. 612-617
[2] Berek and Novak’s Gynecology, 16e. pg. 2297, 2032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