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소과자극증후군 (OHSS)
무배란/희발배란에서 배란 유도를 시행하거나, 보조생식기술에서 성선 자극 호르몬을 사용하여 과배란을 유도할때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으로는 난소 과자극 증후군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OHSS)이 있다. 증상이 심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과 처치가 필요하다.
정의: 배란/과배란 유도시 발생할 수 있는 의인성 합병증으로, 난소 크기 증가, 혈관투과성이 증가 및 제3공간으로의 체액 축적, 저혈량증이 발생하는 질환
기전: multiple follicle → estrogen 증가 → VEGF, cytokine 등 분비 → 혈관 투과성 증가 → 복수, 저혈량증 등 발생
양상: 양측 난소의 크기증가 및 다수의 난포, 복수로 인한 복부 팽만감
중증도 평가
치료: 대증치료 (hormone effect가 떨어지면 호전됨)
[mild~moderate] : Oral hydration (복수가 발생했어도 intravascular volume은 고갈된 상태로, 이를 보충하는 것이 우선)
[severe~critical] : 입원치료
IV crystalloid + 헤파린 (혈전증 예방)
25% 알부민 : 혈관내용적을 증가시켜야 한다면 추가 투여 고려
이뇨제 : 충분한 수액공급을 시행한 후 저혈량증이 교정된 후에만 고려
복수천자 : 심한 복부팽만/복통이 발생, 호흡부전 발생, 충분한 수액을 투여했음에도 복강내압이 높아 핍뇨 지속되는 상황에서 고려
[1] Berek and Novak’s Gynecology, 16e. pg. 2306-2308
[2] 부인과학 6판, pg. 600
[3] ASRM : Prevention of moderate and severe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a guideline (2023), pg.231
[4] The Management of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RCOG, 2016, pg.2-5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