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의 진단과 임상양상
정의: 여성의 월경이 영구적으로 중단되는 것 (보통 40세 이후에 발생)
조기난소부전: 40세 이전에 폐경이 발생한 경우
임상 양상: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해 다양한 증상이 발생함.
혈관운동증상 (vasomotor symptom) : 안면홍조, 발한, 작열감, 불면증, 두근거림
생식기, 비뇨기 위축
골다공증
불안감, 우울증 등
진단: 12개월 이상의 무월경 기간이 경과한 이후에 후향적으로 진단
검사 소견
FSH (난포자극호르몬) > 40 IU/L → 난소기능 완전 소실을 시사
LH 2-3배 상승, estrogen, progesterone, testosterone 감소
[1] 부인과학 6판. pg. 640-657
폐경의 치료
혈관운동증상의 치료: 폐경 후 호르몬 요법 (HRT)
폐경 후 여성호르몬의 감소로 인한 증상과 영향을 경감시키기 위해 호르몬 치료를 시행, 경구 또는 경피(에스트로겐 겔/로션/패치) 투여
호르몬 요법(에스트로겐) 절대적 금기증
유방암, 자궁내막암으로 진단되었거나 의심되는 경우, 진단되지 않은 질출혈
활동성 혈전색전증
활동성 간질환, 담낭질환
** 상대적 금기증 : 심질환, 편두통, 과거 간질환/담낭질환 등
호르몬 요법에 대한 금기증이 없는 경우
자궁이 없는 환자* : 에스트로겐 단독 요법
* 다음의 경우엔 자궁이 없어도 프로게스테론을 포함하여 치료:
자궁내막증으로 수술한 경우, 자궁 내막 증식증, 자궁내막양선암으로 수술한 경우 (stage 1,2), 자궁내막양 난소암으로 수술한 경우, 자궁내막절제술이나 부분자궁절제술을 받은 경우
* 자궁을 절제했더라도, 자궁내막양암 stage III, IV 및 투명세포암종, 장액성 유두암종에서는 호르몬 요법을 시행하지 않는다.자궁이 있는 환자
: [에스트로겐 + 프로게스테론] or 티볼론(STEAR)* or 조직선택적 에스트로겐 복합체 TSEC (estrogen + bazedoxifene)**티볼론(Selective Tissue Estrogen Activity Regulator, STEAR)이란?
합성 스테로이드로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안드로겐 효과를 모두 갖는 물질이다. 유방과 자궁 내막 조직은 자극하지 않으면서 폐경의 증상 완화와 골소실의 예방 효과를 보이며, 일반적인 에스트로겐 제제보다 혈전생성위험이 적다. 그러나 유방암 과거력이 있던 환자에서 사용하는 경우 유방암 재발의 위험이 있다.
60세 이상에서 투여를 시작하는 경우엔 뇌졸중의 위험을 증가시키는데, 이러한 이유로 FDA 승인을 받지 못해 미국시장에서는 판매되지 않고, 유럽과 우리나라 등에서는 사용 중이다.
*Tissue, selective estrogen complex, TSEC (conjugated estrogen + bazedoxifene)이란?
호르몬 복합치료에서 프로게스틴 대신 유방과 자궁 내막에 에스트로겐 길항제 기능을 가진 bazedoxifen 사용하여 프로게스테론 부작용 없이 에스트로겐 단독요법과 유사한 효과를 얻음
호르몬 요법에 대한 금기증이 있는 경우
비호르몬성 치료
SSRI (paroxetine, citalopram, escitalopram, sertraline, fluoxetine)
SNRI (venlafaxine, desvenlafaxine)
gabapentin, clonidine : SSRI/SNRI가 금기인 경우 고려
** 유방암과거력으로 tamoxifen을 복용하는 환자에서는 SSRI 투여가 tamoxifen의 활성도를 낮출 수 있어 병용투여가 금기임. Venlafaxine과 desvenlafaxine은 tamoxifen과의 병용투여 가능
혈관운동증상 없이 비뇨생식기계 위축만 있는 경우
에스트로겐 크림/질정
폐경 후 골다공증의 치료: 호르몬 요법을 고려할 수 있다는 점 외에는 일반적인 골다공증의 치료와 동일(내분비학>골다공증 단원 참고)
호르몬 요법 (estrogen, 티볼론, SERM) : 초기 폐경 여성 (60세 이하 혹은 폐경된 지 10년 이내의 폐경여성)에서 폐경 증상의 조절을 원하면서 골소실, 골다공증, 골절 예방을 위해 사용 가능. (예방이 아닌, 골다공증으로 진단되어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골다공증 알고리즘에 따라 1st line인 bisphosphonate 사용)
E, E+P, 티볼론 : 골밀도 증가 및 척추, 비척추 골절 위험성 감소
SERM (Raloxifen, bazedoxifene) : 골밀도 증가 및 척추골절 위험성 감소
**비척추 골절에 대한 효과는 불분명
**1세대 제제인 Tamoxifen과는 달리 자궁 내막에 에스트로겐 길항작용이 있어 자궁내막 증식을 억제하고 자궁내막암의 발생위험을 증가시키지 않음TSEC (conjugated estrogen + bazedoxifene) : 요추, 대퇴골 골밀도 증가 효과
** 조기난소부전의 경우 골손실 방지를 위한 호르몬요법이 권고. (조기난소부전 파트 참고)
[1] 부인과학 6판. pg. 640-657
[2] Berek and Novak’s Gynecology, 16e. pg. 1025-1035
[3] 대한폐경학회 폐경호르몬요법 치료지침 2019
[4] 2022 대한골대사학회 골다공증 진료지침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