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과 > 이차성 무월경

프로락틴샘종 (prolactinoma)

기본 개념

고프로락틴 혈증 및 프로락틴샘종

  • Hyperprolactinemia에 의한 무월경 기전: 프로락틴 수치가 증가하면 negative feedback으로 인해 gonadotropin 분비가 억제되면서 무월경이 발생할 수 있다.

  • Hyperprolactinemia의 감별진단: 프로락틴 수치가 증가하는 원인은 다양한데 일반적으로 비임신 여성에서 정상 prolactin 수치는 <20ng/mL로, 이를 초과하는 수치에서는 원인을 파악하여 교정해야한다.

    • 가장 먼저 다양한 약제 (metoclopromide, H2-blocker, CCB, SSRI, TCA)와 기저질환 (만성 신부전, 갑상기능저하, 간경변)을 배제해야하고, 이상이 없다면 뇌하수체 병변의 가능성을 고려해야한다.

    • 뇌하수체에 종양이 발생하여 stalk을 누르는 경우 stalk effect로 인해 프로락틴이 증가할 수 있다.

    • 뇌하수체에 프로락틴을 분비하는 종양 (prolactinoma)이 발생하면 프로락틴 수치가 크게 증가한다.

    • 대체로 약물과 stalk effect로 인한 고프로락틴 혈증은 수치가 100을 초과하는 경우가 드물다. 프로락틴 수치가 100을 초과하고, 200가까이 나타나는 경우는 대개 prolactinoma가 원인이다.


내분비 내과 > 뇌하수체 전엽질환 > 고프로락틴 혈증, 기능성 뇌하수체 종양 단원 참고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