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난소부전 (Premature Ovarian Insufficiency, POI)
정의: 40세 이전에 폐경이 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폐경은 45-55세 사이에 발생하는 것이 정상으로 여겨진다)
역학: 최근 항암치료나 방사선치료 등으로 인한 의인성 조기난소부전의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진단 기준
40세 미만의 나이에서 6개월 이상 월경이 중단되고, 1개월 이상 간격을 두고 두번 이상 측정한 FSH > 25, 혈중 에스트로겐 농도 감소가 확인되는 경우
*고전적으로는 FSH cut-off를 40으로 보는데, 2024 ESHRE guideline에서는 25를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다.
원인 : 특발성(90%), 항암치료/방사선 치료, 자가면역질환, 터너증후군/Fragile X 및 기타 염색체질환
검사실 수치: FSH상승, LH상승, E2감소, 안드로겐 감소
합병증: 심혈관질환, 골다공증, 기분장애 등
치료: 이른 에스트로겐 감소로 인한 다양한 합병증의 위험이 있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호르몬 대체요법 : systemic estrogen (경구, patch, gel) + progesterone
→ 50세까지 호르몬 치료를 유지
→ 골다공증 발생 감소, 심혈관질환 예방, 비뇨기계 위축의 예방, 삶의 질 향상임신을 원할 경우: 난자 공여 + IVF
골다공증 발생 시 치료: 호르몬 대체요법
*45-55세 사이의 정상 시기에 폐경이 발생한 경우엔 골다공증을 bisphosphonate으로 치료하지만, 조기난소부전 환자에서 발생한 골다공증에서는 호르몬치료가 우선이다.
[1] ESHRE : Evidence-based GUIDELINE: Premature ovarian insufficiency 2024
[2] ACOG Committee Opinion, No 698 : Hormone Therapy in Primary Ovarian Insufficiency (2017)
[3] Speroff’s Clinical Gynecologic Endocrinology, 9e.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