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 경부암의 진단
증상
초기에는 대부분 무증상
질분비물 증가, 성교 후 출혈, 간헐적 점상 출혈
진단
2년 마다 pap smear 시행 → colposcopic biopsy/conization을 통해 침윤성 암 진단
*pap smear 및 colposcopy, CIN에 대한 처치에 대해서는 자궁질환>자궁경부 상피내 종양 단원 참고
병기 설정
영상검사 : CT, MRI, PET/CT
자궁경부암의 병기
[1] 2024 부인암진료권고안 5.0 pg. 10
자궁 경부암의 치료
Stage IA1, 경계면 (-) & LVSI (-) : conization 또는 단순 자궁절제
Stage IA1, 경계면 (+) or LVSI (+)
가임력 보존 : conization 재시행/자궁목절제
표준 치료 : 근치적 자궁 절제 + 골반림프절절제
Stage IA2, IB1
표준 치료 : 근치적 자궁 절제 + 골반 림프절 절제
가임력 보존 : 자궁목절제 + 골반림프절절제 / conization 후 골반림프절절제*
*2024 NCCN에서는 다음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cone biopsy 이후 pelvic lymphadenectomy만을 시행할 수 있다고 제안하고 있다.
- LVSI (-), cone margin (-)- squamous cell (any grade)/ adenocarcinoma (grade 1,2)
- tumor size ≤ 2cm
- 침윤 깊이 ≤ 10mm
2024년 발표된 대한부인종양학회 부인암 진료권고안 5판에서는 해당 내용이 실려 있지 않다.
크기 4cm 이상 or parametrium 침범 : 동시 항암화학방사선 (CCRT)
[1] 2024 부인암진료권고안 5.0
[2] 2024 NCCN guideline ver 2
단순 자궁절제술 후 진단
단순 자궁 절제술 시행 후 우연히 침윤성 자궁 경부암이 발견되는 경우
병력청취, 신체검사 및 기본검사
영상학적검사 : CT/MRI/PET
방광경, 직장경 (병기 IB2 이상에서 고려)
병리소견상의 병기에 따른 처치
IA1 : 추적검사
IA1, LVSI(+) / IA2 이상 : 절제면과 영상 진단 확인
절제면 (-) & 영상검사 림프절 전이 (-) : CCRT 또는 자궁방절제술(parametrectomy) 및 림프절절제술 (→수술 후 절제면이나 림프절 양성이라면 추가 CCRT)
절제면 (+) or 잔류 병변 or 영상 검사 림프절 전이 (+) : CCRT
[1] 2024 부인암진료권고안 5.0, pg.14
재발성 자궁경부암
골반 내 재발, 국소재발
이전 방사선 치료 받지 않음 : CCRT
이전 방사선 치료 받음 : 골반 장기 적출술 (pelvic exenteration) ± 방사선 치료
골반 외 재발/대동맥 주위 림프절 재발
다발성 재발,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한 재발
백금 기반 복합 항암화학요법 ± bevacizumab + 면역관문억제제
고립성(isolated) 재발
수술적 절제 ± 방사선 치료
CCRT
백금 기반 복합 항암화학요법 ± bevacizumab + 면역관문억제제
[1] 2024 부인암진료권고안 5.0
임신과 자궁경부암
[CIN]
조직검사결과에서 CIN이 확인된 임산부는 질식 분만이 가능,
임신 중 자궁경부긁어냄술 (endocervical curettage)은 금기대개 CIN 2-3이 확인된 임산부중 70% 가량은 분만 후 정상화되었고, 침윤성 암으로 진단된 경우는 없었음.
단계 별 처치
CIN 1 : 분만 4~6주 후 pap smear로 추적관찰
CIN 2, 3, AIS : 분만 4~6주 후 재평가 또는 12주 이상 간격을 두고 cytology/colposcopy/ HPV testing 재검사.
Invasive cancer 의심: 자궁경부 원추절제술 시행
[Invasive Cervical Cancer]
단계별 처치
IAI (침윤깊이<3mm) : 분만 6주 후 재평가
그 이상의 병기 : 임신 20주 미만에서는 즉시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권고됨. 임신 유지가 어려움.
수술 방식은 병기와 태아 상태에 따라 다름
CCRT가 필요한 단계에서는 CCRT를 시행
[1] Williams Obstetrics, 26e. pg. 1164-1166
자궁경부암 합병증
수술 후 골반 신경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Obturator n. 손상: “다리 안쪽 감각이 없고 허벅지를 모을수 없다.”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