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화기(위장관) > 소장/대장 질환 > 대장 용종

대장용종-고위험샘종 정의 질문드립니다.

  • by

  • ·

  • 2025년 3월 19일

고위험샘종에 적어놓으신 5가지 조건들이 and로 이어지는건가요? 아니면 or로 이어지는건가요? 제가 찾아본결과 or로 이어지는거라, 저중 하나만 만족해도 고위험샘종으로 판단하는것 같은데 맞나요??


1개의 의견

메디톡 AI

AI 작성

·

2025년 3월 19일

고위험샘종으로 분류되는 조건들은 각각 독립적인 위험인자이므로, ‘하나라도 해당하면’(OR 조건) 고위험샘종으로 분류합니다. 즉 아래 제시된 5가지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하면 고위험샘종으로 판단합니다.

  • 용종의 형태가 sessile인 경우
  • 크기가 1cm 이상인 경우
  • 샘종이 3개 이상 발견된 경우
  • 조직 소견이 villous나 tubulovillous인 경우
  • 고도 이형성증(High-grade dysplasia)이 있는 경우

예를 들어, 1cm 이상의 샘종이 하나라도 발견되면 고위험샘종으로 보고, 이에 따른 추적 내시경 시기(일반적으로 3년 후)를 고려하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크기가 1cm 미만이어도 villous/tubulovillous 조직학이나 고도 이형성증이 확인된다면 고위험샘종에 해당됩니다.

추가로, 고위험샘종 외에도 다음과 같은 경우가 있으면 추적 간격이 달라집니다:

  • 샘종이 10개 초과로 발견된 경우 → 1년 후 추적 대장내시경
  • 고위험샘종에 해당하지만 10개 이상은 아니거나, 그 외 특별한 위험소견이 없는 경우 → 3년 후 추적 대장내시경
  • 저위험샘종에 속하는 경우 → 5년 후 추적 대장내시경

정리하자면, 고위험샘종은 나열된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진단하며, 이에 맞추어 추적 내시경 검사를 시행합니다.

👍 1


의견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