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스트레스장애
진단기준
A. 실제적이거나 위협적인 죽음, 심각한 부상, 또는 성폭력에의 노출이 다음과 같은 방식 가운데 한 가지 이상에서 나타난다.
1. 외상성 사건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
2.그 사건이 다른 사람들에게 일어난 것을 생생하게 목격함
3.외상성 사건이 가족, 가까운 친척 또는 친한 친구에게 일어난 것을 알게 됨
B.외상성 사건이 일어난 후에 시작되거나 악화된 침습, 부정적 기분, 해리, 회피와 각성의 5개의 범주 중에서 어디서라도 다음 증상 중 9가지 이상에서 존재한다.
침습증상
1.외상성 사건의 반복적, 불수의적이고, 침습적인 고통스러운 기억
2.꿈의 내용과 정동이 외상성 사건과 관련되는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고통스러운 꿈
3.외상성 사건이 재생되는 것처럼 그 개인이 느끼고 행동하게 되는 해리성 반응
4.외상성 사건을 상징하거나 닮은 내부 또는 외부의 단서에 노출되었을 때 나타나는 극심하거나 장기적인 심리적 고통 또는 현저한 생리적 반응
*주의점: 아동에서는 반복적인 놀이, 특정한 사건의 재현등으로 발현될 수 있다.
부정적 기분
5.긍정적 감정을 경험할 수 없는 지속적인 무능력
해리 증상
6.주위 환경 또는 자기 자신에의 현실에 대한 변화된 감각
7.외상성 사건의 중요한 부분을 기억하는 데의 장애
회피 증상
8.외상성 사건에 대한 또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고통스러운 기억, 생각 또는 감정을 회피하려는 노력
9.외상성 사건에 대한 또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고통스러운 기억, 생각 또는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외부적 암시를 피하려는 노력
각성증상
10.수면 교란
11.전형적으로 사람 또는 사물에 대한 언어적 또는 신체적 공격성으로 표현되는 민감한 행동과 분노폭발
12.과각성
13.집중력의 문제
14.과장된 놀람 반응
C.장애(진단기준 B의 증상)의 기간은 외상 노출 후 3일에서 1개월까지다.
치료
비약물적 치료
정신역동적 정신치료
약물(아모바비탈)을 이용한 면담
인지행동치료
노출치료, 이완 기술, 스트레스 관리, 인지적 재구조화
안구운동탈민감재처리
약물치료: SSRI
2차 약물
Buspirone, Propranolol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