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적응장애

기본 개념

적응장애

임상양상

  • 성인→우울한 기분이나 불안, 혼합된 형태

  • 소아청소년기→신체적 증상, 행동화(비행) 동반 가능


진단기준

A. 인식 가능한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반응으로 감정적 또는 행동적 증상이 스트레스 요인이 시작한 지 3개월 이내에 발달

B. 이러한 증상 또는 행동은 임상적으로 현저하며, 다음 중 한 가지 또는 모두에서 명백하다.

1.증상의 심각도와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맥락과 문화적 요인을 고려할 때 스트레스 요인의 심각도 또는 강도와 균형이 맞지 않는 현저한 고통

2.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현저한 손상

C.스트레스와 관련된 장애는 다른 정신질환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음

D.스트레스 요인 또는 그 결과가 종료된 후에 증상이 추가 6개월 이상 지속하지 않는다.


치료

  • 정신치료

    • 정신 역동적 치료, 인지행동치료,대인관계치료

    • 기타: 부부 및 가족치료, 마인드풀니스 기반 치료, 운동요법, 문제 해결 접근

추가 개념

약물치료 심화

정신치료가 우선시 되며 약물치료는 부가적으로 사용한다.

  • SSRI, Benzodiazepine

  • 정신병적 증상

    • 항정신병제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