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성 애착장애
임상양상
아동과 양육자 사이에 애착이 없거나 아주 미미함
신체성장의 장애
감정표현이 제한되어 표정이 멍하거나 아무 감정이 없어보임
진단기준
A.성인 보호자에 대한 억제되고 감정적으로 위축된 행동의 일관된 양식이 다음의 2가지 모두 나타남
1.아동은 정신적 고통을 받을 때 거의 안락을 찾지 않거나 최소한의 정도로만 안락을 찾음
2.아동은 정신적 고통을 받을 때 거의 안락에 대한 반응이 없거나 최소한의 정도로만 안락에 대해 반응함
B.지속적인 사회적, 감정적 장애가 다음 중 최소 2가지 이상으로 나타난다.
1.타인에 대한 최소한의 사회적, 감정적 반응성
2.제한된 긍정적 정동
3.성인 보호자와 비위협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동안에도 설명되지 않는 과민성, 슬픔 또는 무서움의 삽화
C.아동이 불충분한 양육의 극단적인 양식을 경험했음이 다음 중 최소 한가지 이상으로 드러남
1.성인 보호자에 의해 충족되는 안락과 자극, 애정 등의 기본적인 감정적 요구에 대한 지속적인 결핍이 사회적 방임 또는 박탈의 형태로 나타남.
2.안정된 애착을 형성하는 기회를 제한하는 주 보호자의 반복적인 교체
3.선택적 애착을 형성하는 기회를 심각하게 제한하는 독특한 구조의 양육
D.장애가 5세 이전에 시작된 것이 명백하다.
E.아동의 발달 연령이 최소 9개월 이상이어야 한다.
치료
아동이 안전하게 양육 받을 수 있는 환경 마련
신체 질환과 영양 상태에 대해서 평가 → 적절한 치료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