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 수면각성장애

수면무호흡증

기본 개념

수면무호흡증

임상양상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 코골이, 낮 시간의 졸림, 장기간 지속시 심혈관계 합병증

  • 중추성 수면무호흡증

    • 저산소증, 주간 졸림


진단기준

야간수면다원검사상 수면중 10초 이상의 무호흡증 또는 저호흡의 발생이 1시간에 5회 이상의 빈도로 나타남

**해석: 폐쇄성에서는 호흡 노력이 지속되지만 중추성에서는 호흡 노력이 없다.

**질병의 심각도: 호흡-저호흡지수(AHI) 경도: 5~15, 중증도: 15~30, 중증: 30이상


치료

  • 행동요법 → 가장 우선 시행

    • 알코올, 수면제, 진정제 사용 회피

    • 수면 자세 변경(바로 눕는 자세→옆으로 눕는 자세)

    • 체중감량

  • 지속적양압술: 중증도 이상 수면 무호흡증(AHI≥15)

  • 약물치료: Acetazolamide(효과 있는 약물은 아니지만 사용하기도 함)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