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개념
임상양상
사회적 상호관계의 장애
대인관계의 질적인 장애
사회적 웃음이 드물고, 눈맞춤을 피함, 사람이 아닌 대상에 관심이 많음
의미있는 대화가 어렵고, 다른사람에 대한 관심과 감정, 공감능력 결여
행동장애
상동행동(손가락 튕기기, 빙글빙글 돌기)
새로운 환경이나 경험을 받아들이지 않음
과다행동(산만하고 부산, 가만히 있지 못함, 자해행동)
진단기준
A. 사회적 의사소통 및 사회적 상호작용의 지속적인 결함
1. 사회적-감정적 상호성의 결함
2.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비언어적인 의사소통 행동의 결함
3. 관계 발전, 유지 및 관계에 대한 이해의 결함
B.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이나 흥미, 활동
1. 상동증적이거나 반복적인 운동성 동작, 물건 사용 또는 말하기
2. 동일성에 대한 고집, 일상적인 것에 대한 융통성 없는 집착, 또는 의례적인 언어나 비언어적 행동
3. 강도나 초점에 있어서 비정상적으로 극도로 제한되고 고정된 흥미
4. 감각 정보에 대한 과잉 또는 과소 반응, 또는 환경의 감각 영역에 대한 특이한 관심
약물치료
항정신병약물: Risperidone, Aripiprazole
기타: SSRI, 기분안정제, 정신자극제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