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과 > 신경발달장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기본 개념

임상양상

  • 지속적인 부주의 및 과잉행동-충동성

  • 소아기

    • 질서나 규칙을 지키지 못함, 참을성 없고 행동이 앞서는 경향

  • 청소년기

    • 학습에 대한 수행력 저하, 공격적인 행동, 감정적인 충돌

  • 성인기

    • 좌불안석, 말이 많고, 직업생활을 오랫동안 유지하지 못함

치료

  • 약물치료: 메틸페니데이트, 아토목세틴 -1st

    • 클로니딘, 구안파신 -2nd

  • 비약물적 치료: 부모교육, 토큰제도, 타임아웃

추가 개념

상세 진단기준

A. 지속적인 부주의 및 과잉행동-충동성이 (1) 그리고/또는 (2)의 특징을 갖는다.

(1) 부주의: 다음 9개 증상 가운데 6개 이상이 적어도 6개월 동안 발달 수준에 적합하지 않고 사회적, 학업적/직업적 활동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정도로 지속됨.

a. 종종 세부적인 면에 대해 면밀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거나, 학업, 작업 또는 다른 활동에서 부주의한 실수를 저지름

b. 종종 과제를 하거나 놀이를 할 때 지속적으로 주의집중을 할 수 없음

c. 종종 다른 사람이 직접 말을 할 때 경청하지 않는 것처럼 보임

d. 종종 지시를 완수하지 못하고, 학업, 잡일 또는 작업장에서의 임무를 수행하지 못함

e. 종종 과제와 활동을 체계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f. 종종 지속적인 정신적 노력을 요구하는 과제에 참여하기를 기피하고, 싫어하거나 저항함

g. 과제나 활동에 꼭 필요한 물건들을 잃어버림

h. 종종 외부 자극에 의해 쉽게 산만해짐

i. 종종 일상적인 활동을 잊어버림

(2) 과잉행동-충동성: 다음 9개 증상 가운데 6개 이상이 적어도 6개월 동안 발달 수준에 적합하지 않고 사회적, 학업적/직업적 활동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정도로 지속됨.

주의점: 이러한 증상은 단지 반항적 행동, 적대감 또는 과제나 지시 이해의 실패로 인한 양상이 아니어야 한다. 후기 청소년이나 성인(17세 이상)의 경우, 적어도 5가지의 증상을 만족해야 한다.

a. 종종 손발을 만지작거리며 가만두지 못하거나 의자에 앉아서도 몸을 꿈틀거림.

b. 종종 앉아 있도록 요구되는 교실이나 다른 상황에서 자리를 떠남

c. 종종 부적절하게 지나치게 뛰어다니거나 기어오름

d. 종종 조용히 여가 활동에 참여하거나 놀지 못함

e. 종종 “끊임없이 활동하거나” 마치 “태엽 풀린 자동차처럼” 행동함

f. 종종 지나치게 수다스럽게 말함

g. 종종 질문이 끝나기 전에 성급하게 대답함

h. 종종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지 못함

i. 종종 다른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거나 침해함

B. 몇 가지의 부주의 또는 과잉행동-충동성 증상이 12세 이전에 나타난다.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