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작성 상심실성 빈맥 (PSVT)
분류
AVNRT (AV nodal reentry tachycardia): 전기 신호가 AV node 근처의 circuit을 따라 AV node에 재진입(reentry)하면서 발생
AVRT (AV reciprocating tachycardia): 전기신호가 AV ring에 존재하는 accessory pathway 를 통과하여 AV node에 재진입하면서 발생
특징 : 두근거림이 갑자기 시작, 갑자기 끝남, 덜컹 내려앉음.
심전도
AVNRT: No P wave
- 이유: 심실과 심방의 수축이 동시에 이루어져 P wave가 QRS wave에 가려지게 된다.AVRT: QRS 뒤에(PR > RP) inverted P wave
- QRS 뒤에 오는 이유: 심실 → 심방 순서로 수축하기 때문
- inverted P wave가 나타나는 이유: 심방의 탈분극 방향이 정상적인 경우의 SA node로부터의 탈분극 방향과 반대이기 때문
치료
(1) 급성기 치료
(2) 재발방지(급성기 이후): RF catheter ablation = 전극도자절제술
[1] 2019 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pg. 671, 685~686, 691~692
[2] Harrison, 21e. pg 1894-1899
AVRT
엄밀히 분류하자면 AVRT는 전기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orthodromic AVRT와 antidromic AVRT로 구분되며, orthodromic AVRT가 훨씬 흔하게 관찰된다. 우리가 PSVT의 한 종류로 여기는 AVRT는 orthodromic AVRT를 의미한다.
Orthodromic AVRT의 경우 AV node → his bundle → accessory pathway → AV reentry 순서로 전기전달이 이뤄지며, accessory pathway에서는 retrograde conduction이 발생한다. Accessory pathway를 통해 심방까지 전달된 전기신호는 심실수축보다 늦은, retrograde P wave를 발생시킨다.
Antidromic AVRT의 경우 AV node → accessory pathway → his bundle → AV node 순서로 전기전달이 이뤄지며, accessory pathway에서는 antegrade conduction이 발생한다. His bundle → AV node 순서로 conduction 발생하면서 비정상적인 심실 수축이 발생하므로 wide QRS tachycardia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고, 마찬가지로 심실 수축보다 늦은, retrograde P wave가 나타난다.
Antidromic AVRT의 경우 wide QRS tachycardia로 나타나므로 VT와 구분이 매우 어려우며, 진단이 모호한 경우에는 VT에 준해 처치를 시행하게 된다. 혈역학적으로 안정적인 Antidromic AVRT에서는 procainamide 를 1st line으로 사용하고, AV node를 차단하는 약물은 피해야한다.
[1] Harrison, 21e. pg 1896-1897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