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잠복결핵
정의: 결핵균에 노출되어 결핵균이 체내로 들어와 감염은 되었으나, 인체 내의 선천적, 후천적 방어작용으로 활동성 결핵으로 발병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도니 상태. 증상이 없고, 균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타인에게 전파되지 않으며, 항산균 검사 및 흉부 X선 검사에서 정상인 경우
잠복결핵감염검사 대상
전염성 결핵 환자의 접촉자 (가족, 학교, 직장, 군대, 복지시설, 교정시설 등 집단시설)
HIV 감염인, 면역억제자, TNF 길항제 치료 예정인 환자
과거 결핵 치료없이 흉부 X선 상에서 자연 치유된 결핵 병변이 있는 경우
규폐증 환자
장기간 스테로이드 사용 필요한 자가면역질환자
투석중인 CKD 환자
혈액암 환자
의료기관 종사자
→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기저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서 잠복결핵감염 검사 양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으나, 결핵발병위험이 낮은 건강한 사람에서는 LTBI가 진단되어도 치료 적응증이 되지 않는다.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은 선별된 환자를 대상으로 선정한다.
[1] 2024 결핵 진료지침 5판 pg.326~328
성인 잠복결핵감염의 진단
잠복결핵감염검사 대상자 선정
병력청취, 신체진찰, 영상검사 → 활동성 결핵 배제
잠복결핵감염검사
BCG 1회 접종 → TST 또는 IGRA 사용
BCG 2회 이상 접종/접종력불확실 → IGRA 단독으로 진단
면역저하성인 → IGRA 단독 또는 IGRA + TST 병합검사
성인 잠복결핵감염의 치료
권고: 리팜핀을 포함한 단기요법(4R or 3HR)
4개월 리팜핀 요법(4R)
3개월 이소니아지드/리팜핀 요법(3HR)
이소니아지드 9개월 요법(9H)도 선택적으로 고려할 수 있음
→ 치료 완료 후 잠복결핵감염의 치료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법은 아직 없으므로,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TST나 IGRA를 시행하지 않는다.
[1] 2024 결핵 진료지침 5판 pg.334, 267
소아청소년(18세 이하) 잠복결핵
접촉자검진 대상자: 접촉자의 결핵 감염 위험성과 결핵 발병위험성을 독립적으로 평가하여 검진 대상자를 선정
결핵 감염 위험성 : 유의한 접촉 (일주일 8시간 이상), 도말 양성 호흡기 결핵 환자와 접촉
결핵 발병 위험성: 만 2세 미만, 기저질환/면역저하자
접촉자 검진 방법
신체진찰, 병력청취 및 흉부 X선 촬영 → 활동성 결핵 배제
결핵감염검사 시행
[3개월 ~ 18세 소아 결핵접촉자 및 잠복결핵]
[신생아(4주 이하) 및 4주~3개월 결핵접촉자 및 잠복결핵]
→ 최소 2주간의 항결핵제 치료를 받지 않은 활동성 호흡기 결핵 환자(산모 혹은 가족)와 긴밀하게 접촉한 신생아 (생후 28일)와 그 이후 만 3개월 시기의 어린 영아는 선천결핵/활동성 결핵이 의심되지 않는다면, 이소니아지드 10mg/kg를 최소 3개월간 복용한 후 TST를 실시한다.
*선천결핵의심 소견 : 선천 결핵의 증상이 출생시부터 있을 수 있으나 더 흔하게는 생후 2-3주에 시작된다. 흔한 증상과 징후는 호흡곤란, 열, 간비대, 비장비대, 수유량 감소, 처짐, 보챔, 저체중 등이다.신생아에게 시행된 TST 결과는 대체로 음성이다. 대부분의 영아는 흉부X선이 비정상 소견을 보이며, 속립 양상이 가장 흔하다. 선천 결핵의 빠른 진단을 위한 가장 중요한 단서는 산모 또는 가족의 결핵 병력이다.
TST 양성 기준
**면역 정상인 5-18세 소아청소년에서 접촉력 없이 우연히 검사한 경우, TST ≥ 15mm 또는 TST 10-14mm이면서 IGRA (+) 인 경우 결핵 감염 판정
치료대상: 모든 소아 청소년의 LTBI는 반드시 치료
치료: 이소니아지드 9개월 / 리팜핀 4개월 / 이소니아지드+리팜핀 3개월
*BCG접종을 받지 않은 환아가 잠복결핵감염 되었다면 치료완료 후 BCG를 접종하지 않는다.
*결핵 / 잠복결핵감염으로 치료받았거나, 결핵감염검사 양성 판정 받은 과거력이 있는 경우 추후 결핵 감염 검사는 일반적으로 권고되지 않는다.
[1] 2024 결핵 진료지침 5판 pg.277~287
의료기관 종사자의 잠복결핵감염
검사 대상
의료기관 종사자는 위험군과 무관하게 모두 신규 고용 시 잠복결핵감염 기저 검사를 받아야 함. 반복검사가 필요한 경우는 2단계 TST검사가 권장
과거 활동성 결핵 또는 잠복결핵 감염으로 치료한자, 과거 잠복결핵감염 검사 결과 양성이 확인된 자는 검사를 시행하지 않음
1,2,3군 의료기관 종사자는 주기적 잠복결핵감염 검진 실시
치료대상자
잠복결핵감염 양성인 1,2,3군 의료기관 종사자
주기적 TST 혹은 IGRA 검사 결과 2년 이내 양전된 경우
흉부 X선 상 과거치료력 없이 자연치유된 병변 + 잠복결핵검사 양성
치료: 표준 잠복결핵감염 치료와 동일
[1] 결핵진료지침 5판, pg. 367-369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