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외 결핵 개요
정의: 폐 이외의 장기에서 결핵이 발생한 것. (결핵은 인체의 모든 장기에서 발생할 수 있고, 대부분은 폐에서 발생한다)
종류: 결핵성 흉막염, 림프절 결핵, 결핵성 수막염, 복부 결핵(결핵성 복막염, 장결핵), 좁쌀 결핵, 골 및 관절 결핵, 비뇨생식기 결핵, 결핵성 심낭염 등
** 기관지 결핵은 폐결핵의 한 형태이지만 임상양상이 다른 폐결핵과 다른 부분이 많아 진료지침에서는 폐외 결핵 단원에서 다루고 있다. 본 개념서도 동일하게 하였다.
치료: 폐결핵과 동일
[1] 2024 결핵 진료지침 5판 pg. 176~178
기관지결핵
정의: 기관과 기관지의 활동성 결핵 감염
증상: 심한기침, 객혈, 호흡곤란, 발열, 피로, 체중감소
신체검사: 병변 부위에서만 localized wheezing
→ localized wheezing 들리면 가래 항산균 도말/배양, 기관지 내시경 고려
검사: 기관지내시경 (육안적 확인 및 조직검사) → 점막의 부종, 충혈, 과립상, 궤양, 염증성 용종
치료
폐결핵과 동일하게 치료
이미 진행한 기관지협착은 결핵치료로는 효과가 없고, 협착부위 레이저, 풍선확장술, 스텐트 삽입술, 플라즈마 응고술 등의 시술을 고려
[1] 2024 결핵 진료지침 5판 pg. 186~187
좁쌀결핵(Miliary TB)
정의: 결핵균이 혈행으로 전신에 파급되어 폐 또는 다른 장기에 1-2mm 정도의 수많은 결핵에 의한 결절이 관찰되는 경우를 말함
**파종성 결핵 (disseminated Tb) : 서로 인접하지 않은 2개 이상의 장기에 결핵이 발생한 경우증상: 고열, 야간발한, 피로, 체중 감소 등
눈 : Choroidal tubercles(30%)- miliary TB의 특징적인 소견
검사
CXR, Chest CT : 1-3mm 작은 nodule이 전폐야에 골고루(miliary pattern)
미생물학적 검사 : Sputum AFB stain&Culture (혈행성 전파이기 때문에 대부분 음성)
기관지 내시경을 통해 BAL 및 TBLB 시행 (폐결핵과 달리 sputum 검사에서 대부분 음성이기 때문에 기관지 내시경을 통해 진단)
치료 : 폐결핵과 동일하게 치료
[1] 2024 결핵 진료지침 5판 pg. 200~201
[2] Harrison 21e, pg.1367
림프절 결핵
위치: 경부 (90%), 종격동, 복강, 겨드랑이, 서혜부 등
진단: 림프절 생검 (FNA, CNB, excisional biopsy, EBUS/EUS guided biopsy)
→ 결핵균 NAAT, Xpert MTB/RIF, 조직소견상 건락성 괴사를 동반한 만성 육아종, 항산균 도말
→ 보조적 검사법으로 TST/IGRA 고려 가능
결핵성 수막염
증상: 발열, 의식저하/경련/신경학적 징후, neck stiffness, brudzinski sign/kernig sign
진단
영상검사: CT/MRI → space occupying lesion 배제, 다른 부위의 결핵 검사 (폐 등)
뇌척수액 검사: 확진
백혈구 증가 (100-1000), 림프구 증가
포도당 감소 (<40~50mg/dL)
단백증가 (150-500mg/dL)
ADA 증가
CSF Xpert/MTB/RIF 검사, 항산균 도말 검사, 배양검사
치료
HREZ 2개월 → HR 7-10개월 유지
스테로이드 보조치료 권고
[1] 결핵진료지침 5판, pg. 193-196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