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 > 호흡기계 검사

기타 진단적 검사

기본 개념

기관지 내시경 (Bronchoscopy)

[종류]

  • Flexible fibroptic bronchoscopy :
    작은 기관지에, 진단적 목적으로 흔히 활용
    ex. Bronchial washing / BAL / Transbronchial biopsy

  • Rigid bronchoscopy :
    특수한 경우, 치료를 목적으로 활용. 주로 수술실에서 전신마취 하 시행
    ex. foreign body, suction of massive hemorrhage


** 즉, 기관지 내시경은 1) 국소 기관지 폐색이 의심되는 경우 (폐암, 기관지결핵, foreign body), 2) Transbronchial biopsy가 필요한 경우 (폐암, miliary TB), 3) BAL 이 필요한 경우의 상황에서 시행하게 된다.

**기관지 내시경을 통한 생검은 병변이 중심성 위치를 보여야 가능하며, 만약 말초성 병변의 생검이 필요하다면 CT-guided biopsy를 시행해야한다.

객담 검사 (Sputum test)

  • 목적: 호흡기 감염성 질환의 진단 (폐렴, 폐결핵 등)

  • 방법

    • 아침 첫 객담을 채취

    • 적절한 검체의 판정: Neutrophil > 25/LPF, Epithelial cell < 10/LPF

기관지 내시경 초음파 (Endobronchial ultrasound, EBUS)

  • 목적: 종격동 및 폐문부 림프절의 관찰 및 조직검사 (TBNA)

  • 주로 폐암 환자의 림프절 전이 여부를 평가하는 데 활용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