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활량검사 개요
폐활량검사(PFT)는 spirometry를 통해 측정한다.
FEV1: 1초간 노력성 호기량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VC: 강제폐활량 (Forced vital capacity) = TLC – RV
정상치
FEV1 ≥ 80%
FVC ≥ 80%
FEV1/FVC ≥ 70%
** Residual volume과 이를 포함한 volume (FRC, TLC)은 폐활량검사 (spirometry)를 통해서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RV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폐용적검사 (helium dilution method 또는 plethysmography)가 필요하다.
[1] Harrison 21e, pg.2134~2135
환기장애의 종류
폐쇄 환기장애: FEV1/FVC < 70%
FEV1 작을수록 severe
질환: 천식, COPD → Bronchodilator Response (BDR)을 시행하여 감별
제한 환기장애: FVC < 80% & FEV1/FVC ≥ 70%
FVC 작을수록 severe
질환
폐실질질환(ILD, sarcoidosis)
신경-근 질환(ex. 중증근무력증, Guillain-Barre syndrome, Myasthenia gravis)
흉벽질환(ex. kyphoscoliosis, TB-destroyed lung, 섬유가슴, ankylosing spondylitis) 등
[1] 2016 폐기능검사 지침, pg.22~23
기류-용적 곡선의 해석
[기류-용적 곡선]
Flow-volume curve에서 위로는 호기(expiration), 아래로는 흡기(inspiration)시에 그려지는 곡선이다.
폐쇄성인지, 제한성 환기장애인지에 따라 그래프 모양이 달라진다
폐쇄성 환기장애는 상기도폐쇄, 하기도 폐쇄인지, fixed obstruction 인지에 따라 그래프 모양이 달라진다.
[감별진단]
흉곽 내 변이형 협착 [variable Intrathoracic obstruction]
Expiration시 Plateau 구간 보임 (폐쇄 초기에는 scooped appearance)
(원리: expiration 시에 흉곽 내의 airway가 좁아지기 때문)질환이 진행할 수록 폐는 Hyperinflation 되므로 RV, TLC는 점차 증가 → Left shift
의심질환: COPD, 천식
흉곽 외 변이형 협착 [variable Extrathoracic obstruction]
Inspiration시 Plateau 구간 보임.
(원리: inspiration 시에 기도 내의 음압에 의해 흉곽 외의 airway가 좁아지기 때문)의심질환: 성대마비, 성대협착, 크룹
고정형 협착 [Fixed obstruction]
Expiration, Inspiration 모두 plateau 구간을 보임
의심질환: (지속된 기관삽관에 의한) 기도협착/육아종, 갑상샘종, 기관지암 등
제한성 환기장애
호기 시 그래프의 기울기는 보존되거나 더 증가 (기류의 제한은 없음)
폐실질의 제한: 폐포의 탄성도가 떨어지면서 VC, RV, TLC가 모두 감소
흉벽/근골격계의 제한: 폐포의 탄성도는 보존되어있으나 흉벽의 순응도가 감소 → 충분한 흡기가 제한되고, 잔여 공기도 모두 뱉기 어려워짐 → TLC감소, RV는 상대적 증가
[1] 2016 폐기능검사 지침, pg.8, 26
[2] Harrison 21e, pg.2135
[3] Flow volume loop as a diagnostic marker, pg.166
폐확산능 검사 (DLCo)
정의: 폐포에서 가스 교환이 잘 일어나는지 평가하는 검사로, 소량의 CO 를 마시고 최대한 숨을 들이마신 후 10초동안 숨을 참았다가 불어낸 숨의 일산화탄소양을 측정
DLCo가 감소하는 질환
폐포 면적이 감소하여 확산능이 떨어지는 경우: Emphysema
폐포-혈관 barrier가 두꺼워지면서 확산능이 떨어지는 경우: ILD, 폐고혈압
혈액의 기체운반능력이 떨어지는 경우: Anemia
DLCo가 증가하는 질환
alveolar hemorrhage, asthma, acute CHF → 폐포내의 액체가 CO를 흡수하여 확산능이 더 좋게 측정됨
polycythemia → 혈액의 기체운반능력이 향상되어 확산능이 더 좋게 측정됨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