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 > 천식

천식

기본 개념

천식

  • 정의: 가변(가역)적인 호기 기류제한과 함께 시간에 따라 중증도가 변하는 호흡기 증상(천명, 호흡곤란, 가슴답답함, 기침 등)의 병력이 있는 것

  • 임상양상

    • 천명(쌕쌕거림), 호흡곤란, 가슴 답답함, 기침. 특히 다음의 경우:

      • 밤이나 새벽에 악화

      • 계절에 따른 증상 변동

      • 운동, 알레르기항원 노출, 찬 공기 등에 의해 증상이 생기는 경우

    • 아토피 질환의 병력, 천식/아토피 질환의 가족력

  • 진단: 천식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서 아래 검사를 통해 진단

    → 위의 방식들은 모두 5세 이상에서 사용할 수 있다. 5세 미만에서는 협조의 부족으로 폐기능 검사를 시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병력, 가족력, 보조적 검사, 약물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임상적으로 진단한다.

  • 보조적 검사

    • 알레르기검사 :혈청 IgE, 특이 IgE, 피부단자검사 → 알레르기 유무, 악화 요인 확인

    • 기도염증표지자: 객담/혈액 호산구분율, 호기산화질소 (FENO)
      **FENO가 50ppb 이상일 경우 호산구성 기도 염증을 시사하며, 흡입스테로이드에 대한 반응률이 높을 것을 예상


질문) 천식 진단기준의 12%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천식의 진단기준인 FEV1 200ml, 12%의 경우, 12%란 괄호 속 ‘정상예측치의00%의 00%’를 비교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문제에 쓰여있는 ‘기관지 확장제 사용 전보다 00%증가’의 00%를 의미하는 것인가요?

문제 예시)

기관지확장제 사용 전: 1초간 강제날숨량(FEV1): 500 mL (정상예측치의 17%)

기관지확장제 사용 후: 1초간 강제날숨량(FEV1): 600 mL (정상예측치의 20%), 기관지 확장제 사용 전보다 20% 증가


답변) 우선, FEV1이 12% 이상 증가한다는 말만 놓고 보았을 때 다른 의미로 해석될 여지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가령, FEV1이 500mL였다면 12% 이상 증가하려면 560mL 이상이 되어야 하는 것이지요. 그러므로 후자가 맞습니다. 가이드라인에서의 맥락이 정상 예측치의 맥락에서 서술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가이드라인에서 표현을 모호하게 했다고 보기도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문제 푸는 입장에서 정상 예측지 %가 주어져서 헷갈릴 수 있으셨을 것 같습니다.


[1] 2022 천식 진료지침,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pg.22, 46, 48-49

성인, 청소년(12세 이상) 천식 치료

  • Two Track 존재

    • 트랙 1 : 조절제, 완화제로 모두 ICS/Formoterol 사용하는 방법

    • 트랙 2 : 조절제로 ICS 등, 완화제로 SABA 사용하는 방법

  • 초기 치료제 선택방법: 증상 정도에 따라 초기 치료제를 선택 (트랙 1 기준)

    • 증상 주 4~5일 미만: 필요시 저용량 ICS-formoterol

    • 거의 매일 주간 증상 or 주 1회이상 야간 증상: 저용량 ICS-formoterol 유지 + 필요시 저용량 ICS-formoterol 완화제로 사용

    • (거의 매일 주간 증상 or 주 1회이상 야간 증상) + 폐기능 저하시 : 중간용량 ICS-formoterol 유지 + 필요시 저용량 ICS-formoterol 완화제로 사용


[약 암기팁] : “사부님에겐 사바사바 / 라바(애벌레) ㅁㅁㅁㅁ모양”

ICS : 흡입 스테로이드제 : 부데소니드, 플루티카손, 베클로메타돈

SABA : 속효성 흡입 베타2 항진제 : 살부타몰, 알부테롤

LABA : 지속성 흡입 베타2 항진제 : 테롤, 살테롤

LAMA : 지속성 흡입 항콜린제 : 티오트로피움


[1] 2022 천식 진료지침,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pg.91

[2] 2023 GINA Report

소아 천식 치료

[요약]

소아의 경우 기본적으로 조절제로 ICS, 완화제로 SABA를 사용한다.


[6~11세 소아 천식 치료]

LTRA = Leukotriene Receptor Antagonists
MART = Maintanence And Reliever Therapy = 2개의 개별 조절제, 완화제를 사용하는 하나의 흡입기를 조절제와 완화제로서 사용하는 전략

  • 증상 정도에 따라 초기 치료제를 선택 (트랙 1 기준)

    • 증상 월 2회 미만 : 필요시 SABA + 저용량 ICS 같이 동시 투여

    • 증상 월 2회 이상이면서 주 5회미만 : 저용량 ICS 유지

    • 매일 주간 증상 아니면 야간 증상 주 1회이상 : 저용량 ICS-LABA 유지 / 중간용량 ICS 유지 / 최저용량 ICS-formoterol 유지 + 필요시 최저용량 ICS-formoterol 완화제로 사용

    • 폐기능 저하시 : 저용량 ICS-LABA 유지 / 저용량 ICS-formoterol 유지 및 완화제로


[5세 이하 천식 치료]


[1] 2021 한국 천식 진료지침,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pg.65~66

천식조절평가

흡입 스테로이드 부작용 - 구강 칸디다증

  • 기전: 칸디다는 정상적으로 구강 내에 존재하다가 ICS에 의해 미생물 균형이 깨지면 빠르게 증식 가능.

  • 임상 양상: 입안의 크림색의 백색반

  • 예방: 흡입제 사용 후 구강세척, 스페이서 사용

  • 치료: 니스타틴 시럽


[1] 2021 한국 천식 진료지침,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pg.41

[2] Harrison 21e, pg.260

추가 개념

중증 천식

  • 정의: 치료에 대한 순응도가 좋고, 동반질환/악화요인 등을 모두 조절하고 있으며, 수개월 이상 고용량 ICS - LABA 약물을 최적화하여 사용하고 있음에도 천식 증상이 조절되지 않거나, 용량을 줄이면 악화되는 경우

  • 염증상태(표현형) 평가: 다음 중 하나 이상에 해당하는가?

    1) PB eosinophil ≥150/μl

    2) FeNO ≥20 ppb

    3) 객담호산구 ≥2%

    4) 알레르기 항원에 의해 천식 유발

    5) 전신스테로이드 유지요법이 필요한 상태

    • YES생물학적 제제 투여를 고려할 수 있음

      • Anti-IgE (Omalizmab)

      • Anti-IL5/Anti-IL5R (mepolizumab, reslizumab/benralizumab)

      • Anti-IL4R (Dupilumab)

    • NO → 다음 추가 치료 고려

      • LAMA or azithromycin

      • 저용량 전신스테로이드 추가


[1] 2022 천식 진료지침,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pg.142-148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