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삭 전 조기양막파수(PPROM)
정의
조기양막파수(PRO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분만진통이 시작 전에 양막 파수
만삭전 조기양막파수(PPROM, preterm premature rupture or membranes): 37주 이전에 진통이 있기 전에 양막 파수
검사: 니트라진 검사 (+) = 파랑색
조치
자궁 수축 억제제는 권고되지 않음(연구 결과 융모양막염 위험이 증가했기 때문. 융모양막염에 의해 자궁 수축이 유발되는 것을 자궁수축 억제제가 masking하기 때문이라고 이해되고 있다.)
즉각적인 분만 적응증: Active labor, 자궁 내 감염의 증상/징후, 태반조기박리, 제대탈출, fetal indication
** active labor: 진통이 active phase에 돌입한 경우, 즉 자궁 경부가 6cm 이상 개대된 경우를 가리킨다. 분만진통 파트 참고
23-24주 미만
previable fetus → 산전 스테로이드, 황산마그네슘 등 권고되지 않음.
20주 이후부터는 양막 파수에 대한 항생제(latency antibiotics)를 투여함.
24+0 ~ 33+7 주: 즉각적인 분만 적응증이 아니라면 임신 유지
산전 스테로이드
Latency antibiotics(융모 양막염 예방)
32주 미만이라면 MgSO4 투여
GBS screening & prophylaxis
34+0 ~ 36+7: 분만 또는 경과관찰**
산전 스테로이드 사용하지 않음
Latency antibiotics 고려하지 않음
GBS screening & prophylaxis (분만 중 투여)
Intraamniotic infection이 있다면 치료
** 고전적으로는 34주 이후에 분만을 진행하는 것이 권고되었으나, 2020 ACOG 가이드라인에서는 이 시기 사이에서 expectant management와 delivery 를 시행했을 때 neonatal sepsis/adverse neonatal outcome에는 큰 차이가 없었고 오히려 즉각 분만한 그룹에서 호흡곤란증후군, ICU 입원, 제왕절개 시행이 더 많이 나타났고, expectant management를 시행한 그룹에서는 maternal adverse outcome(출혈 및 감염)이 더 높게 나타났다고 한다. 따라서 이 시기에서는 산모와 태아의 상태에 따라 즉각적인 분만이나 expectant mangement 를 시행할 수 있다. Expectant management 를 시행하는 경우 37주를 넘어가서는 안되며, 이 시기 중에 latency antibiotic을 투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37+0 ~ : 분만, GBS prophylaxis, intraamniotic infection이 있다면 치료
[1] William’s obstetrics 26e, p 798-800
[2] ACOG Practice Bulletin No 217, Prelabor Rupture of Membranes, 2020
융모양막염(chorioamnionitis)
양막 파수가 유지될 경우 생길 수 있는 대표적인 합병증이 융모양막염이다. 융모양막염 산모에서 태아에게 감염이 같이 이루어질 경우 태아의 sepsis, RDS, seizure 등의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융모양막염 산모는 신속한 분만이 필요하다.
정의: 융모막, 양막 또는 둘 다의 감염
임상 증상 / 징후
발열
산모 leukocytosis (>15,000)
산모, 태아 tachycardia
냄새나는 질분비물, 자궁 압통 등
진단
임상적 진단 기준: 발열 38도 이상 + 양막파수 동반
2019 ACOG 진단기준:
39도 이상의 발열
혹은 38도 이상의 발열이 있으면서 clinical risk factor 가 있는 경우
Clinical risk factor: low parity, 여러번 내진을 시행한 경우, internal uterine/fetal monitor, 태변 착색된 양수, GBS 또는 STD 가 발견된 경우
치료
유도분만 (금기증 없을 경우) + 분만 중 항생제 (ampicillin + gentamycin) 투여
산전 스테로이드는 권고되지 않음
분만 후 처치
제왕절개로 분만한 경우 : 기존 regimen 대로 항생제 1회 추가 투여 + clindamycin이나 metronidazole 을 함께 투여
질식분만한 경우 : 항생제 추가 투여 필요없음. (만약 고려한다면 clindamycin 추가투여 필요 없음)
[1] William’s obstetrics 26e, pg. 800-801
[2] ACOG Practice Bulletin No 217, Prelabor Rupture of Membranes, 2020
[3] ACOG Committee Opinion, No. 712. Intrapartum Management of Intraamniotic Infection, 2017
[4] WHO recommendations on Antenatal corticosteroids for improving preterm birth outcomes, 2022
PPROM에서 사용하는 Latency antibiotics
PPROM에서 투여하는 latency antibiotic과 분만 중에 시행하는 GBS prophylaxis는 서로 다른 개념이다.
PPROM 에서 투여하는 Latency antibiotics
: PPROM 이 24+0 ~ 33+7주 사이에 발생한 경우, expectant management를 시행하는 도중에 융모양막염이 발생하면 즉각 분만해야 하므로 융모양막염을 예방함으로써 분만을 지연시키기 위해 투여한다.Regimen
: 7-day course intravenous ampicillin and erythromycin → oral amoxicillin and erythromycin[1]amoxicillin–clavulanic acid 은 신생아의 necrotizing enterocolitis 의 위험을 높이기 때문에 권고되지 않는다.[1]
[1] 2020 ACOG Practice bulletin No 217: Prelabor Rupture of Membranes, pg.e87
GBS prophylaxis
: 산전 검사의 일환으로 36+0 ~37+6 주 사이에 GBS screening을 시행하고,
GBS prophylaxis indication에 해당하는 환자들의 경우엔 신생아 GBS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intrapartum antibiotic prophylaxis를 시행한다.GBS prophylaxis의 indication (출처: ACOG)
Regimen: Penicillin (TOC) or ampicillin (출처: Williams)
** GBS Bacteriuria : GBS 세균뇨라면 농도에 관계없이 intrapartum GBS prophylaxis를 시행하고, 이에 더해 105 CFU/mL 이상이라면 acute treatment도 시행한다. (무증상 세균뇨 참고)
GBS bacteriuria를 치료할 때는 clindamycin을 사용하지 않는다.
[관련 기출문제]
2020 ACM 1차 3교시 61번: PPROM, no active labor (경부 개대 없음)→ Latency antibiotics (erythromycin)
2022 ACM 1차 3교시 52번: GBS urine culture positive → intrapartum GBS prophylaxis
2019 ACM 2차 3교시 26번: 35주, unknown GBS status, active labor(4cm 확장) → intrapartum GBS prophylaxis
[1] ACOG - Prevention of Group B Streptococcal Early-Onset Disease in Newborns, pg.e56
[2] Williams 26e, pg.1195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