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호르몬의 합성
[안드로겐]
여성에서의 안드로겐은 대부분 부신겉질 (adrenal cortex)에서 생성된다.
소량의 안드로겐은 난소의 theca cell (난포막세포)에서 생성되어 에스트로겐 합성을 위해 쓰인다. 난포막세포는 콜레스테롤을 사용하여 안드로스텐디온과 테스토스테론을 합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안드로겐은 과립막세포로 이동한다.
[에스트로겐]
여성에서 에스트로겐은 대부분 난소의 granulosa cell (과립막세포)에서 합성된다.
난포막세포에서 생성된 안드로스텐디온과 테스토스테론은, 과립막세포에서 방향화 효소 (aromatase)에 의해 활성화되고, Estrone (E1)과 Estradiol (E2)로 변환된다.
Estrone (E1)과 Estradiol (E2) 은 난소가 아닌 말초 조직(지방조직)에서도 합성될 수 있다. 지방조직에도 방향화 효소(aromatase)가 존재하여 안드로겐을 에스트로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임상 point
→ 비만한 사람은 비만하지 않은 사람보다 에스트로겐 노출이 더 많다. (unopposed estrogen exposure)
→ 폐경 후 여성의 유방암 치료로 aromatase inhibitor를 쓰는 이유는 지방조직에서 생성되는 에스트로겐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폐경 후 난소에서는 에스트로겐이 더이상 만들어지지 않으니 말초조직에서의 에스트로겐 합성을 막는 기전)
→ 남성도 지방 조직에서 안드로겐이 에스트로겐으로 전환된다. 간경화 환자에서는 이 과정이 더 촉진되어 말초 여성호르몬 농도가 증가하고, 여유증이 발생할 수 있다.Estriol (E3)은 태반에서 생성되는 여성호르몬이다.
[프로게스테론]
배란 후 follicle은 황체(corpus luteum)로 변화하며, 황체에서 프로게스테론이 분비된다.
수정란이 착상하지 않으면 황체는 퇴화하고 프로게스테론 분비가 중단되며 월경이 시작된다.
[1] 부인과학 6판. pg. 65-66
유방발달, 체모발달
유방발달은 에스트로겐의 유선 조직 자극에 의해 발생
체모발달은 안드로겐 (DHT)의 역할
남성에서는 고환에서 안드로겐 (DHT)이 많이 생성 → 체모 발달
여성에서는 대부분의 안드로겐이 부신 겉질에서 생성 → 체모 발달
*임상 point
→ 뇌하수체기능저하증: gonadotropin 결핍은 남성 음모/액모소실, ACTH 결핍은 여성 음모/액모소실 유발
→ DHT는 체모발달 말고도 남성형 탈모와 BPH의 원인이 되는데, testosterone을 DHT로 변환하는 효소인 5a-reductase를 억제하는 약제(5a-reductase inhibitor)가 바로 탈모치료제이자 전립선비대증 치료제인 finaseteride이다.
월경 주기와 성호르몬의 기능
월경 주기는 배란일을 기점으로 배란전을 난포기, 증식기라고 부르고 배란후를 황체기, 분비기라고 부른다. 난포기와 황체기는 난소 주기를 기준으로 묘사한 것이며, 증식기와 분비기는 자궁내막 주기를 기준으로 묘사한 것이다.
[증식기, 난포기]
월경 시작일 ~ 배란 (0~14일)
에스트로겐에 의해 자궁 내막이 증식
배란 2일 전부터는 에스트로겐과 LH의 양성 피드백으로 인해 LH surge가 유발되고 난포에서 난자가 배란됨
[분비기, 황체기]
배란~다음 월경 시작 직전 (15~28일)
난포가 배란 후엔 황체로 변환, 황체에서 프로게스테론을 분비
프로게스테론에 의해 자궁내막에서 단백질이 풍부한 분비물을 분비하고, 배아 착상을 위한 자궁내막을 준비함
착상이 안될 경우 황체는 퇴화하여 프로게스테론 분비가 중단되며 월경이 시작
수정란이 착상되면 황체가 유지되며 프로게스테론 분비가 지속되고, 태반이 자라면서 태반에서 프로게스테론 분비를 이어나감
[1] 부인과학 6판 pg. 57-61
1개의 글
by
씨알알티
·
2024년 9월 22일
소량의 에스트로겐은 난소의 theca cell (난포막세포)에서 생성되어 에스트로겐 합성을 위해 쓰인다.
혹시 여기서 ‘소량의 에스트로겐’ → ‘소량의 안드로겐’ 인가요??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