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과 > 가족계획

피임법의 선택

기본 개념

피임법의 분류

피임법은 원리에 따라 호르몬 피임법과 비호르몬 피임법으로 분류된다.

가장 흔하고 간편한 방법은 콘돔사용이다. 피임 실패율이 2% 대로 매우 낮고, 다양한 성병 (HIV, HPV, syphillis, HSV)의 전파를 막을 수 있다. 라텍스 알레르기 이외엔 특별한 금기증이 없는 것도 장점이다.

반면 피임 효과 이외에 다른 치료적 효과를 같이 보고 싶을 땐 호르몬 피임법을 고려할 수 있다. 자궁 내막증, 자궁 선근증 등이 동반되어 월경통이 심하거나 월경량이 많은 경우 호르몬피임법이 좋은 치료일 수 있다. 장기 피임효과가 필요한 경우에도 다양한 호르몬 피임법을 고려해볼 수 있다.

다양한 피임법을 고려하는 단계에서는 각각의 특성, 장단점과 금기증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한다.

복합 경구 피임약(Combined Oral Contraceptives)

  • 구성: 에스트로겐 + 프로게스틴

  • 기전: GnRH 분비 억제 → FSH, LH 분비 억제 → 배란 억제

  • 금기

  • 효과

    • 잘 복용하는 경우 피임 실패율 5% 미만(2-3%),

    • 규칙적인 월경. 월경량,통증,빈혈 감소 / PMS,여드름,다모증 완화

    • 난소낭종,난소암 /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암 / 자궁근종 감소

    • 골밀도 증가, 류마티스 관절염의 감소 가능성

    • HDL 증가, LDL 감소

    • 대장직장암 위험 감소

  • 경구피임약 부작용

    • 우울증, 기분변화

    • 유방암, 자궁경부암 위험 증가

    • 수유량 감소

    • 두통

    • 혈전색전증

    • 고혈압, 심뇌혈관질환 위험 증가

    • 간손상(간에서 대사), hepatic adenoma 와의 연관성

  • 주의사항

    • 약물상호작용 : 대부분 간에서 CYP3A4에 의해 대사되는데 이 효소의 활성을 변화하는 약물과 함께 복용하는 경우 혈중 약물 농도가 감소하거나 증가할 수 있음

** 패치제제 (Transdermal patch) : 피부에 붙이는 패치제제로 경구피임약과 같은 효과를 갖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시판되지 않는다.


[1] CDC Summary Chart of U.S. Medical Eligibility Criteria for Contraceptive Use, 2020

[2] Berek & Novak’s Gynecology, 16e. pg. 797-808

[3] Williams Gynecology, 4e. pg. 121

[4] 부인과학 6판, pg. 197

프로게스테론 단독 제제

고용량 프로게스테론을 투여할 경우 효과적인 피임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건강상의 이유로 에스트로겐을 투여하지 못할 경우 사용할 수 있다.

  • 기전: 자궁경부 점액을 탁하게 하여 정자가 자궁경부를 통과하지 못하게 하고, 자궁 내막을 얇게 하여 착상을 방해하여 피임을 유발

  • 종류

    • Progestin-only pill : 프로게스틴 제제 경구피임약. 주로 수유부에서 사용.

    • Depot-provera (DMPA) : 프로게스틴 주사제제. 매 3개월마다 투여시 매우 효과적 (피임 실패율 0.3%) 투여 중단 시 배란 주기가 정상화되는데 길게는 1년까지도 걸릴 수 있음.

      • 효과 : 월경량 감소, 월경통 감소, 자궁내막증에 경구피임약보다 효과적, 자궁내막암 예방효과

      • 부작용 : 체중증가, 기분변화, 골밀도 감소, 알러지 등

    • 피하 임플란트 (Implanon) : 상완 안쪽 피하 부위에 삽입.

      • 부작용 : 여드름, 두통, 기분변화

  • 금기

    • 프로게스테론 단독 제제들의 절대적 금기는 임신과 유방암이다.

    • 비대상성 간경변과 간종양은 상대적 금기에 해당한다. 이는 프로게스테론이 에스트로겐과 마찬가지로 간에서 대사되기 때문인데, 에스트로겐보다는 영향이 적은 편이다.

    • 2020 CDC 권고안에 따른 각 제제에 따른 금기 사항은 다음과 같다.

      • 경구 프로게스틴

      • DMPA

      • 피하 임플란트


[1] CDC Summary Chart of U.S. Medical Eligibility Criteria for Contraceptive Use, 2020

[2] 부인과학 6판. pg. 203-208

자궁 내 장치 (IUD)

  • 종류

    • Copper IUD : 구리로 감싸져 있는 자궁내 장치로 자궁 내막에 국소적인 염증을 일으켜서 수정과 착상을 방해하여 피임효과를 가짐. 대개 응급피임법으로 쓰임. 5년 효과

    • LNG-IUS : levonorgestrel이 함유된 장치로 매일 일정량을 분비하여 피임 효과를 가짐. 프로게스테론의 효과로 월경량과 월경통 감소, 자궁샘근증 등에 효과적. 5년 효과

  • 부작용

    • 통증, 질출혈

    • 전위, 자궁 천공

    • 골반감염

    • 자궁외임신

  • 금기

** IUD를 삽입한 상태에서 임신을 확인한 경우, IUD에 골반 감염이 동반된 경우, IUD 실이 보이지 않는 경우에 대한 처치는 IUD 특수 상황 단원 참고


[1] Berek & Novak’s Gynecology, 16e. pg. 788

[2] Williams Gynecology, 4e. pg. 115

[3] 부인과학 6판, pg. 201

[4] CDC Summary Chart of U.S. Medical Eligibility Criteria for Contraceptive Use, 2020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