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과 > 자궁 체부 양성 질환

자궁 근종 (Leiomyoma)

기본 개념

자궁 근종의 진단

  • 정의: 자궁 근층에서 발생하는 흔한 양성 종양

  • 분류: 자궁 근종은 위치에 따라 8가지 종류로 분류된다.

    • type 0,1,2 : 점막하 근종 (submucosal)

    • type 3,4,5 : 근층 내 근종 (intramural)

    • type 6,7 : 장막하 근종 (subserosal)

    • type 8 : 자궁경부근종, parasitic myoma(자궁에서 분리되고 다른 기관에 부착하여 혈류 공급을 받는 경우)

  • 증상

    • 압박증상, 월경통, 성교통, 만성 골반통

    • 점막하 근종: 월경과다, 비정상 질출혈, 빈혈, 불임

  • 진단

    • 신체진찰

      • 근종의 크기가 큰 경우 하복부 / 골반 진찰시 촉지되는 덩이

      • 질경(speculum)에서 prolapsed myoma나 cervical myoma 확인 가능

    • 질식 초음파 / 생리식염수 주입 초음파 (saline infusion sonography)
      : 경계가 명확한 저에코 덩이 (근층 조직이므로 저에코로 나타남)

      [submucosal]

      [intramural]

      [subserosal]

    • MRI

    • 자궁경검사: 점막하 근종의 진단과 치료적 목적으로 시행

      → 하얗고 단단한 조직으로 이뤄진 덩이의 표면 위로 얇은 혈관들이 덮고 있는 모습

      *자궁내막폴립과의 감별

      자궁 내막 폴립은 자궁 내막조직으로 이뤄졌기 때문에 자궁근종에 비해 조금 더 모양이 irregular하고, 핑크색/붉은색을 띠며 규칙적인 혈관배열/점상출혈 등을 관찰할 수 있음. 대부분 크기가 1-2cm 이하


[1] Berek & Novak’s Gynecology, 16e. pg. 533-549

[2] Abdominal Key : Chapter 4 – Diagnostic Hysteroscopy: Accuracy and Interpretation of Findings

[3] 부인과학 6판, pg. 100-111

자궁 근종의 치료와 예후

  • 치료

    • 비수술적치료

      • 경과관찰 : 증상이 없거나 경증인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 매년 추적관찰을 시행

      • NSAID : 자궁근종과 관련된 이차성 생리통 및 월경과다 치료로 사용될 수 있음

    • 수술 적응증

      : 압박증상, 빈뇨, 수신증, 통증 등이 심하거나, 과도한 출혈, 빈혈이 발생할 경우,
      임신을 원할 경우(점막하근종)
      ** 점막하 근종을 제거할 경우 임신 확률이 증가하지만, 근층 내 근종은 제거하더라도 임신 확률이 증가하지 않는다.

      • 복강경 근종 절제술 : 크기가 큰(>4~5cm) 점막하 근종, 근층 내 근종, 장막하 근종

      • 자궁경 근종 절제술 : 크기가 작은(<3~4cm) type 0,1 근종

      • 자궁절제술 : 추후 임신 계획이 없는 경우

    • GnRH agonist : 가성 폐경 상태를 유도하여 저에스트로겐 상태를 만들어 근종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출혈을 소실시키는 효과. 치료를 중단하면 근종크기가 돌아옴
      ** 가성 폐경상태를 유도하기 때문에 폐경기 증상 및 골밀도 감소가 부작용으로 동반될 수 있어 6개월 이상의 사용을 권고하지 않음

      수술이 필요한 자궁근종 환자에서 GnRH 사용 적응증
      - 가임 여성 중 자궁보존을 하여 임신을 원하는 경우
      - 수술 전 빈혈 교정이 필요한 경우
      - 수술을 피하고자 하는 폐경기에 가까운 여성
      - 커다란 근종의 크기를 줄여서 질식/복강경 수술을 받고자하는 경우
      - 건강 상태를 이유로 수술이 부적합한 경우


  • 악성 가능성

    • 폐경 전 여성에서는 자궁 근종이 빨리 자라도 악성 가능성은 거의 없음

    • 폐경 후 여성에서 통증과 출혈이 동반되거나, 폐경 후 크기가 자라는 자궁 근종은 uterine sarcoma의 가능성이 있음


  • 합병증

    • 자궁 근종의 변성 : hyaline / calcification / cystic / hemorrhagic degeneration이 발생할 수 있으며, 대개 통증 조절 및 보존적 치료를 시행함.

    • 근종 염전: 장막하근종의 염전이 발생하면 급성 통증이 발생하고 수술적 치료가 필요


[1] Berek & Novak’s Gynecology, 16e. pg. 549,558-560

[2] 부인과학 6판, pg. 97, 111-116

임신과 자궁근종

  • 대개 임신중에는 근종의 크기가 커지지 않음. 경과 관찰.

  • 5%정도에서는 적색(출혈성) 변성이 발생하며, 심한 통증을 동반

    : 근종의 edema 와 hypertrophy로 인해 혈류 공급이 저하되며, 정맥 혈전증 및 출혈로 aseptic degeneration이 진행됨.

    • 치료 : 진통제, 보존적 치료


[1] Berek & Novak’s Gynecology, 16e. pg. 551-553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