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분비 > 갑상샘 (외과)

갑상샘 분화암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기본 개념

갑상샘 분화암 개요

  • 정의: 갑상샘 여포 세포 (follicular epithelial cell)로 부터 발생하는 암종으로, 갑상샘 유두암 (Papillary Thyroid Cancer)과 갑상샘 여포암(Follicular Thyroid Cancer)을 통틀어 일컫는 용어

  • 갑상샘 유두암 (PTC)

    • 진단: 조직검사에서 다음의 병리학적 소견을 보이는 경우 진단

      • Branching papillae

      • pseudo-inclusion (Orphan annie nucleus)

      • nuclear grooving (coffee-bean nucleus)

      • psammoma body

    • 전이: 대부분 림프절 전이
      → 경부 림프절 전이가 흔하며, 원격전이는 드물다 (3~5%, 폐, 뼈)

    • 관련 유전자 변이: BRAF

  • 갑상샘 여포암 (FTC)

    • 진단
      1) 다음 병리학적 소견을 보이는 경우 여포성 종양(follicular neoplasm)을 진단

      • follicular cells, microfollicles, discohesion, nuclear atypia 등

      2) 여포암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수술적으로 갑상샘을 절제한 후 캡슐 또는 혈관 침범을 병리학적으로 확인해야 함


      즉, 조직검사로는 follicular neoplasm만을 진단할 수 있으며, 암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갑상샘 절제를 시행하여 모든 부위의 혈관과 캡슐을 확인해서 침범여부에 따라 암이 결정

    • 전이: 대부분 혈행성 전이
      → 림프절전이는 드물고, 혈행성 전이를 통한 폐, 뼈, 뇌 전이가 흔함

    • 관련 유전자 변이: RAS


[1] Sabiston, 21e. pg. 898-899

갑상샘 분화암의 병기 (AJCC 8th)

1. 수술적 치료

[1] 갑상샘 절제

→ 갑상샘 분화암에서는 병소를 완전히 절제하는 것이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일차 치료

  • 크기 1cm 이하, Extrathyroidal extension (ETE)이 없으며 경부림프절 전이의 증거가 없음(cT1aN0M0)
    : 갑상샘 엽절제술

  • 크기 1-2cm, 임상적으로 ETE가 없고 경부림프절 전이 증거가 없음 (cT1bN0M0)
    : 갑상샘 엽절제술을 우선 고려
    수술 후 방사성요오드 치료 계획, 추적 검사의 효율, 환자의 선호도 등을 고려하여 전절제술 가능

  • 크기 2-4cm, 임상적 ETE가 없고, 경부림프절 전이 증거가 없음 (cT2N0M0)
    : 갑상선 엽절제 또는 갑상샘전절제 선택

  • 크기 4cm 초과 or 띠근육/주요기관(기도, 식도, 후두, 되돌이후두신경, 혈관 등)의 갑상샘외부침범(ETE) 존재 or 경부 림프절 전이 or 원격전이 (T3+ or N+ or M+)
    : 갑상샘전절제 및 원발암의 완전한 육안적 제거


[2] 경부림프절절제

가장 흔히 전이되는 림프절은 중앙경부림프절 구역 (level VI)

  • 임상적 중앙 경부 림프절 전이 확인 → 치료적 중앙경부림프절 절제술 시행

  • 임상적 측경부림프절 전이 확인 → 치료적 측경부 림프절 절제술 & 예방적 중양 경부 림프절 절제술 시행

  • 임상적 중앙경부 림프절 전이가 발견되지 않은 PTC 이면서 T3 or T4예방적 중앙경부림프절 절제술 권고

  • 수술 전 BRAFV600E 돌연변이와 TERT 돌연변이가 동반 → 예방적 중앙경부 림프절 절제

  • FTC에서는 대부분 예방적 중앙경부 림프절절제가 불필요


[3] 갑상샘 완료절제 (completion thyroidectomy)

  • 갑상샘엽절제 후 전절제술 적응증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한다면 갑상샘완료절제를 고려

  • 갑상샘엽절제 중 띠근육에 국한된 육안적 갑상샘외부침범 확인 → 수술 중 갑상샘전절제로 전환하거나, 갑상샘완료절제를 시행

  • 갑상샘엽절제 후 조직검사 결과 광범위 침습을 보이거나 (widely invasive) 혈관을 침습한 경우 (angioinvasive) : 갑상샘완료절제술 및 추가치료 고려

    **2024 NCCN에서는 widely invasive 또는 4개 이상의 혈관침범을 보인 경우 갑상샘완료절제를 권고하고 있다.

2. 수술 후 방사성요오드치료

갑상샘전절제 후 방사선요오드 치료는 아래의 세가지 주요 목적을 모두 아우르는 광범위한 치료로, 반드시 갑상샘 전절제 후 시행

  • 잔여 갑상샘 절제 (remnant ablation): 전절제 후 잔여 정상 갑상샘조직을 파괴하여 초기 병기평가와 추적관찰검사를 용이하게 함

  • 보조치료 (adjuvant therapy): 원발 및 전이병변을 모두 수술로 제거한 후 잠재적 암세포를 파괴

  • 알려진 병변에 대한 치료: 지속적 또는 재발성 갑상샘분화암 병변의 파괴, 완치 또는 완화 목적으로 모두 투여 가능


갑상샘 전절제 후 여러 항목을 고려하여 재발 위험군을 분류

  • 고위험군 환자에서 방사성 요오드 치료 시행 권고

    다음 중 하나 이상 충족

    1) 종양이 육안적으로 갑상선 주위 조직을 침범하여 pT4에 해당(띠근육 침범 T3b 제외) 2) 갑상선저분화암, 고등급갑상선분화암
    3) 광범위침습형인 피막형성여포아형갑상선암
    4) 광범위한 원발종양 내
    혈관 침습(4개 이상)
    5) 종양을 육안적으로 완전히 제거하지 못함(
    R2 resection)
    6) 경부
    림프절전이의 최대 직경이 3 cm 이상
    7)
    BRAF+TERT 프로모터 또는 RAS+TERT 프로모터 돌연변이와 같이 위험도를 높이는 돌연변이를 2개 이상 동반
    8)
    원격전이 동반

  • 중간위험도에서는 방사선요오드 치료를 고려할 수 있음

    저위험군 또는 고위험군에 속하지 않는 경우
    → 특히 공격적인 조직아형 (긴세포,원주세포,hobnail) 이거나, 경부림프절 양성(N1)이거나, 종양이 4cm이상인 경우에서 생존율 향상

  • 저위험군에서는 방사선요오드 치료가 권고되지 않음

    다음 모든 항목을 충족

    1) 국소 및 원격전이가 없음
    2) 수술로
    육안적 병소가 모두 제거되었음(R0 resection)
    3) 원발종양이 나쁜 예후를 갖는 조직아형이 아닌 유두암, 또는 최소침습형(minimally invasive)인 피막형성 여포아형암
    4) 크기 ≤2 cm (
    T1) 유두암, BRAFV600E 음성인 크기 >2 cm, ≤4 cm 유두암(T2), 또는 ≤4 cm 피막형성 여포아형암(T1-2)bc
    5) 원발종양 내
    혈관침습이 없음
    6) 갑상선 내에 국한되어
    갑상선 주위조직침범이 없음

    7) 방사성요오드 잔여갑상선제거술을 시행한 경우, 첫 번째 치료 후 전신스캔에서 갑상선 부위(thyroid bed) 외에는 섭취가 없음
    8)
    림프절전이가 없거나 림프절 미세전이(≤0.2 cm)가 5개 이하인 경우


방사성요오드 치료 과정

: 체내 요오드를 최대한 고갈시킨 후, 방사성 요오드 투여 직전 TSH를 높게 증가시켜 잔여 갑상샘 조직에서 방사성요오드를 최대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

  • 1) rhTSH 투여방법

    • 치료 전 TSH자극과 체내 요오드 양을 감소시키기 위한 저요오드 식이 1-2주 시행

    • rhTSH 를 주사 (D-2, D-1)

    • 방사성요오드 투약

  • 2) 갑상샘호르몬 중단

    • 4주간 LT4중단 또는 2주간 LT4를 LT3로 변경한 후 2주간 LT3중간

    • 1-2주간 저요오드 식이

    • 방사성요오드 투약

→ 잔여 갑상샘제거 또는 보조치료 목적으로 시행할 경우 rhTSH방법을 우선적으로 권고
→ 방사성요오드 투약 전 TSH농도 30mIU/L이상을 유지


[1] 2024 대한갑상선학회 갑상샘분화암 진료권고안 pg. 76-114

3. TSH 억제치료 및 추적검사

  • 초기치료가 완료된 후 TSH, Tg (갑상선글로불린), Anti-Tg-Ab, 경부초음파를 추적검사

  • TSH는 치료 상태에 따라 0.1~0.5 mIU/L 미만을 유지

  • 갑상선글로불린(Tg) : 잔존병소나 재발을 모니터링하는 중요한 검사

추가 개념

소아 갑상샘 분화암

  • 특징

    • 대부분 경부종괴가 만져져서 진단, 외부침범/림프절전이/폐전이 빈도가 높음

    • 주변조직침윤이나 경부 림프절 전이가 확인된 경우 종격동 림프절 전이 가능성이 있음

    • 유전종양증후군이 의심되는 경우 유전자 검사 권고

      갑상샘 수질암은 MEN syndrome과 연관되는데, 비수질 갑상샘암도 5%정도가 유전종양증후군과 연관되어있다고 알려져 있다. 대두증, 혈관종, 지방종, 모종, 유두종, 색소침착, 흑색점 등의 소견이나 종양 가족력, 과거 질병력 확인이 필요하다.

  • 수술

    • 소아 갑상샘분화암 → 갑상샘 전절제를 우선적으로 고려

    • 중앙경부 림프절 전이 → 중앙경부 림프절 절제

    • 측경부 림프절 전이 → 중앙경부림프절 절제 + 측경부 림프절 절제

    • 갑상샘외부침범, 혈관 침습, 원격전이 → 예방적 중앙경부 림프절 절제


  • 수술 후 위험군 분류

    • 저위험군
      : 갑상선외부침범이 없고 림프절전이가 N0/Nx 또는 예방적 중앙경부림프절 절제술 후 발견된 미세전이(≤0.2 cm)가 있는 N1a

    • 중간위험군
      : 림프절전이가 광범위한 N1a 또는 미세전이가 있는 N1b

    • 고위험군
      : 진행된 원발암(T4)이거나 림프절 전이가 광범위한 N1b, 또는 원격전이가 동반

  • 방사성요오드 치료

    • 중간위험 & 고위험군: TSH-자극 갑상샘글로불린 및 방사성요오드 진단스캔을 시행
      → 갑상샘글로불린 수치가 증가하거나, 원격전이/경부 섭취가 확인된 경우 방사성요오드 치료


[1] 2024 대한갑상선학회 갑상샘분화암 진료권고안 pg. 211-221

임신과 갑상샘암

  • 임신 중 새로 진단된 갑상샘암

    • 임신 초기에 새로 진단된 갑상선유두암은 초음파로 추적관찰

    • 임신 24-26주 전에 갑상선암이 진행하면 수술을 고려

    • 임신 24-26주까지 진행하지 않거나 임신 20주 이후에 갑상선유두암이 진단된 경우에는 출산 이후에 수술을 고려


[1] 2024 대한갑상선학회 갑상샘분화암 진료권고안 pg. 205-206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