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소생술
심전도 리듬확인
전문 소생술팀이 현장에 도착하면 즉시 심전도 리듬 확인
심실세동(VF) → 제세동 후 가슴압박
무수촉(asystole) → 즉시 가슴압박
심실빈맥 (VT) 또는 구조화된 리듬 (organized rhythm) → 10초 이내 맥박 확인
→ 무맥성 심실빈맥 (pulseless VT)는 제세동후 가슴압박
→ 무맥성 전기활동 (PEA)인 경우 즉시 가슴압박
2분 간격으로 리듬을 확인하고, 동시에 가슴압박을 신속하게 교대
** 제세동 전기 에너지량
Biphasic : 120-200J (각 제품의 권장 에너지량 준수, 모를경우 최대 에너지 사용. 두번째 제세동부터는 더 높은 에너지로 증량)
Monophasic : 360J
가슴압박과 인공호흡
전문 기도 확보 전까지 가슴압박과 인공호흡의 비율은 30:2
가슴압박: 흉골하부의 1/2지점, 5cm 깊이, 100-120회/분, 손뒤꿈치로 압박. 충분한 이완. 가슴압박 중단 시간(hand-off time) 최소화, 제세동 후 바로 가슴압박 시행
백마스크 인공호흡: 1회 호흡량 500-600ml (1.5L 백의 1/3만 배깅), 기도개방하고 1회당 1초에 걸쳐 시행. 100% 산소 투여, 백마스크 인공호흡 시 가슴압박 잠시 중단
** 성인 심정지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하는 동안 백마스크 또는 전문 기도기 삽관 중 어느 방법을 선택해도 된다.
** 가슴압박은 전문기도 확보전까지는 인공호흡할 때, 심장리듬을 확인할 때, 제세동을 시행할 때만 중단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가슴압박이 지속적으로 잘 수행될 수 있다고 판단될 때에 신속하게 정맥로확보와 전문기도 확보등의 침습적 술기를 시행한다.
** 과환기는 심폐소생술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주의한다.주사로 확보, 에피네프린 투여
심폐소생술이 진행되는 동안 IV/IO route를 확보하고 1mg 에피네프린 bolus와 생리식염수 20ml 추가 투여. (3-5분 간격으로 반복투여)
전문 기도기 삽관
고품질 심폐소생술이 진행되고 에피네프린이 적절히 투여되고 있다면 전문 기도기를 삽관할 수 있음
6초당 1회의 속도로 인공호흡을 시행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 감시
삽관이 어렵거나 실패한 경우 백마스크 인공호흡 유지
항부정맥제
2번째 제세동 및 심폐소생술 후에도 VF/pVT가 확인되면, 3번째 제세동을 시행하고 2분간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중에 아미오다론/리도카인을 주사
충격필요리듬이 지속되는 경우 초기 ½ 용량으로 1회 반복투여 가능
[1] 2020 대한심폐소생협회 한국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 pg. 141
주요 심정지 리듬
[충격 필요 리듬 (Shockable)]
심실세동 (Vfib): 심근세포들이 서로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개별적으로 분당 300회 이상 수축과 이완을 하게 되어 혈액을 뿜어내지 못하며, 실제적으로 심정지와 같은 상태가 유발
유의미한 QRS가 관찰되지 않으며, 매우 빠른 속도로 baseline이 흔들리는 파형 (oscillatory wave)이 나타남.
시간이 지나며 진폭과 진동수가 감소되다가 수분 내로 무수축으로 진행
유일한 치료 방법은 전기적 제세동이며, 1분마다 생존률이 10%씩 감소
무맥성 심실빈맥 (pVT, pulseless VT): 심실에서 유발된 빈맥으로 넓은 QRS군이 형성되며, 심신 빈맥의 맥박수가 최대 심박수에 접근하는 경우 심박출량이 저하되어 심정지가 유발되는 리듬
단형(monomorphic) VT와 다형(polymorphic VT)로 구분
[충격 불필요 리듬 (Unshockable)]
무맥성 전기활동 (PEA, pulseless electrical activity): 비교적 정상적인 심전도 리듬이 관찰되지만, 맥박을 만들 수 있을 정도의 실질적인 심근 수축을 유발하지 못하는 상태. (동성리듬 이외에도 상심실성 리듬, 방실접합부리듬, 심실 리듬, 심실고유리듬, 방실차단 리듬 등이 보일 수 있음)
진성 PEA : 심장의 전기활동은 있으나 심장이 수축하지 않아 심박출량이 없는 상태 (심근경색, 칼슘길항제/베타차단제 중독, 심한 산혈증, 고칼륨혈증, 저칼륨혈증)
가성 PEA : 심근의 전기활동과 기계적 수축은 유지되지만 정맥 환류가 감소하여 맥박이 측정되지 않는 상태 (폐동맥색전증, 인공심장판막폐쇄, 대량 실펼, 심장 눌림증, 긴장성기흉, 대동맥류 파열 등)
무수축 (Asystole): SA node에서 전기자극을 생성하지 못하고, 심장의 다른 pacemaker 또한 escape rhythm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상태로, 심장이 전기적으로 사망한 상태를 의미
심전도 파형이 관찰되지 않는 실선으로 나타나며, 분당 6회 이하의 심실 자극은 무수축으로 간주
** 임종 파형 (Agonal rhythm) : 느리고 넓은 QRS형태를 보이는 심실고유리듬 (idioventricular rhythm)이 분당 20회 미만으로 나타나는 형태. 무수축으로 진행하기 직전의 파형이며, asystole로 간주하고 처치
가슴압박과 백마스크 인공호흡
가슴압박의 자세와 위치
가슴뼈 (sternum) 아래쪽 절반을 압박 (xiphoid process 이하를 압박하지 않도록 주의)
딱딱한 바닥에 등을 대고 눕히거나, 단단한 판을 깔기
가슴 옆에 무릎을 꿇고 시행. 팔꿈치를 펴고 팔이 바닥과 수직을 이룬 상태에서 허리를 움직여 가슴압박
가슴압박의 깊이, 속도, 이완
깊이: 4.0-5.5cm 사이가 가장 생존율이 높고 6cm을 넘는 경우 합병증 위험 증가
→ 보통 체격의 성인에서는 5cm 깊이로 압박속도: 분당 100-120회를 유지
이완: 가슴 압박 후 가슴이 완전히 올라와 충분히 이완되도록 하기 (압박:이완 시간이 1:1을 유지)
** 임산부의 심정지
20주 이상의 산모는 자궁이 하대정맥과 대동맥을 압박하여 정맥 환류가 감소하고 심박출량이 30-40%까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폐소생술 중 산모의 자궁을 왼쪽으로 밀어 이동시켜 압박을 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산모를 왼쪽으로 비스듬히 눕게 하는 것보다 효율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4분동안 심폐소생술을 시행했음에도 소생되지 않을 경우 5분 이내 제왕절개를 시행하여 산모와 태아의 소생을 돕는다.
백마스크 인공호흡 (Bag-mask ventilation)
One-hand technique : 한손 엄지와 검지로 마스크의 위아래를 감싸고, 나머지 세손가락으로 하악각을 잡음 (E-C maneuver). 다른 손으로 백을 잡음
Two hand technique : 두명의 구조자가 있을 때, 한명은 양손의 엄지와 검지로 마스크를 감싸고 중지, 약지, 검지로 하악각을 잡음. 다른 한명은 백을 잡음
전문기도기가 확보되기 전엔 압박:호흡 비율을 30:2로 유지. 전문기도기가 확보된 경우 가슴압박의 중단 없이 6초마다 1회씩 (분당 10회) 호흡을 시행
제세동
제세동 (Defibrillation): 극히 짧은 순간에 강한 전류를 심장에 통과시켜 심실세동을 종료시키고 정상적인 전기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치료
적응증 : 심실세동, 무맥성 심실빈맥
주의사항: 시행 전 털 면도 필요. ICD나 permanent pacemaker를 삽입한 환자는 기계 주위에 전극을 부착해서는 안됨
** 제세동 ≠ 재동기화 (synchronized cardioversion)
재동기화 (synchronized cardioversion) = 제세동기의 모니터상 QRS파와 동기화되어 R파의 최상점에만 쇼크가 전달되는 방식.
맥박이 있지만 불안정한 SVT/Afib/AFL/VT에서 시행.
빈맥의 R파 최상점이 불분명하거나, 진폭이 작아 모니터가 R파의 최상점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쇼크가 전달되지 않는다
약물치료
[투여 약물]
혈관수축제
에피네프린 : 1 mg IV/IO (3–5분마다 반복)
** 바소프레신: 첫 번째, 두 번째 에피네프린을 대체하여 사용하기도 했으나, 2023 AHA ACLS update 에서는 에피네프린을 대체해서 사용하지 않도록 권고하고 있다. 에피네프린에 바소프레신 또는 바소프레신 + 메틸프레드니손 추가투여는 고려해볼 수 있다.
항부정맥제
: 2-3회의 제세동에도 심실세동/무맥성 심실빈맥이 지속될 때 (불응성 VF/pVT)는 아미오다론과 리도카인 중 하나의 사용을 고려
[투여 경로]
1) 정맥 내 투여 (IV)
주의사항: 말초정맥으로 약제를 투여할 경우 bolus 투여 후 20ml 의 수액을 shooting하고 팔을 올려줌으로써 중심순환에 빨리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2) 골내 주사 (IO): 정맥로 확보가 어렵거나 실패한 경우 차선책으로 시행
약제 투여 후 생리식염수 10-20ml를 일시 투여하고, 삽입된 바늘은 24시간 이내 제거
부위: 성인은 상완골 경부가 선호됨
합병증: 골절, 구획증후군, 혈관밖유출, 성장판 손상, 지방색전증, 가피, 근육괴사, 골수염 등 발생 가능
절대적 금기: 골절/압궤손상 주변, 골형성 부전증(osteogenesis imperfecta), 같은 부위 골간내 투여가 시도된 적 있는 경우, 주입부위의 피부감염이나 화상
3) 기관내 투여 (Intratracheal route): 정맥로확보와 골내 투여로를 확보할 수 없을 때, 일부 약물에 한하여 기관삽관된 환자에게 기관내로 약물 투여를 고려할 수 있음. 약물 농도를 예측할 수 없고, 생존율이 낮아 다른 방법에 비해 권장되지 않음.
정맥 용량의 2-2.5배 투여, 에피네프린은 10배 용량 투여
투여시 10ml 이상의 생리식염수/증류수로 희석하여 기관에 직접 분사 → 백마스크로 과환기 5회 시행
투여 가능 약물 : 에피네프린, 바소프레신, 리도카인, 아트로핀, 날록손
전문소생술 중 환자감시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 (ETCO2)
정상 순환상태에서는 35-40mmHg이지만 심정지에서는 폐관류가 일어나지 않아 0에 수렴
대표값과 양적 파형(quantitative waveform)을 확인
: 소생술 중 혈역학적 감시, 자발순환 회복가능성 예측, 기관 삽관 위치 확인 시 활용기관내삽관 위치 확인: 기관삽관 후 6회의 양압환기 후에도 전형적인 ETCO2의 파형이 보이지 않으면 식도 내 삽관을 의심
심폐소생술의 질 평가: CPR 중 ETCO2 목표: ≥10 mmHg → 폐의 관류량을 반영하며, 가슴압박 깊이와 속도를 유지하는데 기준을 제시하고, 시행자의 피로도 확인에 도움
자발순환 예측 지표
20분동안 지속적으로 10mmHg 미만으로 유지되면 자발 순환 회복 될 가능성이 낮음을 시사
ETCO2가 갑자기 정상 수치(30-40mmHg)로 회복: ROSC 의 지표
국소뇌산소포화도 (regional cerebral oxygen saturation, rSO2)
: 이마에 부착하는 장치로, 동맥산소포화도만 측정하는 pulse oximetry와는 다르게, 박동성이 없는 저혈류 및 1mm 이하의 미세혈관 내의 헤모글로빈의 포화도를 측정가능하다. 뇌관류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
중심정맥혈 산소포화도 (ScvO2): 심폐소생술 중 ScvO2 감시는 심장정지 전에 중심정맥관이 삽관된 경우나 소생술에 방해가 되지 않을 때 고려한다. 연속감시를 통해 심박출량과 산소운반을 확인하는 지표로 사용한다.
체외순환 심폐소생술 (ECPR, Extracorpore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고식적인 심폐소생술로 자발 순환이 회복되지 않았으나, 자발 순환이 회복된다면 신경학적 회복을 기대할 수 있는 가역적 원인에 의한 심정지환자에게 적용
일률적 기준을 제시하기 어려우나, 다양한 연구에서 다음의 적응증을 공통적으로 제시 (다음 모두를 만족할 경우 치료가 효과적)
75세 미만
초기 심전도 리듬이 충격필요리듬인 경우
교정 가능한 원인 혹은 심인성 원인에 의한 심장정지
목격된 심정지
심장정지로부터 심폐소생술 시작까지의 시간(no flow time)이 5분 이내
10분 이상의 전문 소생술에 반응이 없는 경우, 심장 정지 시간이 총 60분 이내인 경우
ECPR에는 심장과 폐를 모두 보조해주는 VA-type ECMO 만 사용된다.
(정맥에서 혈액을 빼서 동맥으로 넣어주어 우심방-우심실-폐동맥-폐-폐정맥-좌심방-좌심실-대동맥을 모두 우회)** VV-type ECMO: 대퇴정맥에서 빼서 내경정맥으로 혈액을 넣어주어 폐를 대체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