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농양
감염 경로 : biliary tract의 ascending 감염
원인균 : Klebsiella pneumoniae(우리나라 m/c), E.coli, amoeba
면역저하 환자에서 호발
다른 병소로 전파가 잘된다. (눈, 폐, CNS)
증상 : 발열, 오한, 근육통, RUQ pain 등
검사 : ESR, CRP 상승, AST/ALT 상승, ALP상승, WBC 상승 등
영상 : USG, CT (irregular margin, hypoattenuation lesion), MRI
진단 : 영상검사가 가장 도움 (+ 세균성의 경우 흡인을 통해 병원균 확인)
Klebsiella endophthalmitis에 의한 실명 가능성으로 인해 빠른 안과진료가 필수 = 세극등 현미경 검사 및 안압/안저 검사
치료 : 배액술 + 항생제(3세대 cepha - cetriaxone or cefotaxime + Metronidazole)
[1] Harrsion 21e, pg.1057-1059
Ameobic liver abscess
원인: Entamoeba histolytica
임상양상
급성: 발열, RUQ pain, 점액성 설사
아급성: 체중감소
Endemic area (이집트 등) 여행력 등의 고위험군에서 의심
검사실 소견
WBC 증가, anemia, no eosinophilia, ALP증가, AST/ALT 정상
대변검사: cyst, trophozoite
항체검사: anti-amoebic Ab (+)
대장내시경: amoebic colitis-flask shaped ulceration
농양 배액시 thick chocolate colored pus / anchovy paste 배액됨
영상: USG (hypoechoic cyst), CT (rounded, well-defined lesion, peripheral rim), MRI
치료 : 항생제 (Metronidazole)
Pyogenic abscess와 감별이 힘들거나, 약물에 반응이 없거나, 파열의 위험이 있는 경우 등에서는 aspiration이 필요
[1] Harrsion 21e, pg.1776-1718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