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도 정맥류 출혈
기전 : 문맥압 항진으로 인해 우회 혈관들이 발달
증상 : 무통성 대량 토혈
진단 : 식도 위 내시경
활동성 출혈의 치료
초기소생술 - 기도확보, 수액, 제한적 수혈(목표 : 7-9g/dL)
혈관수축제 (somatostatin or octreotide or telipressin)
예방적 항생제 (Ceftriaxone 등) : 내시경 하기 전에 투여
내시경 정맥류 결찰술(EVL)
풍선 탐폰 삽입법 (Sengstaken-Blakemore tube or Minnesota tube) : EVL 시행 전에 환자 안정화용 또는 EVL 실패 후 TIPS 넘어가기 전의 중간치료용
목정맥 경유 간속문맥전신단락술 (TIPS) : 내시경 지혈술 실패시
예방
초출혈 예방(primary prophylaxis)
출혈 고위험군 대상: 비대상성 간견병증, 내시경 적색징후, 큰 식도정맥류
비선택적 베타차단제 단독 또는 내시경 정맥류 결찰술과 병합
재출혈 예방 (Secondary prophylaxis : 비선택적 베타차단제 +정맥류가 없어질때까지 내시경 정맥류 결찰술
[1] Harrison 21e, pg.2629-2630
[2] 2019 대한간학회 간경변증 진료 가이드라인: 정맥류, 간성뇌증 및 관련 합병증, pg.16-42
위 정맥류 출혈
** GOV1: 식도정맥류가 위의 소만을 따라 확장된 경우 / GOV2: 식도정맥류가 위바닥으로 확장된 경우
** IGV1: 독립된 정맥류가 위바닥에 위치한 경우 / IGV2: 독립된 정맥류가 위 내 다른 부위나 십이지장 등에 위치한 경우
활동성 출혈의 치료
내시경 정맥류 폐쇄술(EVO) : 시아노아크릴레이트 주사
목정맥 경유 간속문맥전신단락술 (TIPS) : 내시경 지혈술 실패시
역행정맥경유정맥류폐쇄술 (RTO) : EVO 대신 시행 가능하나, 접근 가능한 shunt가 필요 (ex. gastrorenal, splenorenal shunt)
재출혈 예방 : EVO, TIPS, RTO 등을 시행 가능
초출혈 예방 : GOV1-식도정맥류와 동일/ GOV2,IGV1-출혈 고위험군에서 EVO, RTO등을 시행
[1] Harrison 21e, pg.2629-2630
[2] 2019 대한간학회 간경변증 진료 가이드라인: 정맥류, 간성뇌증 및 관련 합병증, pg.16-42
TIPS vs RTO
간속문맥전신단락술 (TIPS)
간정맥과 간 문맥 사이에 스텐트를 삽입하여 문맥압을 빠르게 감소시켜 지혈을 유도하고 재출혈을 예방
간성 뇌증 발생 가능성 증가, 간성 뇌증이 있는 환자에서 금기
심부전, 심한 폐동맥 고혈압이 동반된 경우 금기
주간문맥 혈전증 (main portal vein thrombosis) 이 있거나, 간실질 주변으로 농양,낭종, 종양 등이 가로막고 있는 경우 시술 어려움
역행 경정맥 폐색술 (RTO)
위신장단락 (gastro-renal shunt)을 통해 역행적으로 위 정맥류에 접근,
정맥류와 동반된 우회혈관 차단 및 정맥류 소실 유도시술 전 접근 가능한 단락 (shunt)가 영상학적 검사에서 확인되어야 함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