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기 > 호흡기계 증상, 징후

기침

기본 개념

기침 개요

→ 4주 이상 지속되는 만성 기침의 경우 반드시 가슴엑스선 사진을 촬영하여 활동성 폐결핵을 배제하고, 기타 폐실질질환에 대한 감별하는 과정이 필요


[기침 양상]

  • 가래 동반 기침

    • 화농성 가래 (노란색): 세균성 감염 ie. 폐렴, 폐농양

    • 비화농성 가래 (흰색): 기관지염, COPD, ILD 등

  • 개 짖는 듯한 기침 : 후두 질환(ex, Croup)

  • 발작성 기침 : 백일해, 이물 흡인

  • 야간 기침 : 부비동염, 천식, CHF

  • 운동 유발성 기침 (가슴답답, 쌕쌕) : 천식

  • 식사 관계된 기침 : GERD, 식도게실, TEF

  • 체위변화로 유발되는 기침 : 폐농양, 기관지 확장증

  • 쇳소리 기침 : 기관염, 습관성 기침


[1] 2020 기침진료지침(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pg.34~35, 62~63, 69

상기도기침증후군(과거 후비루 증후군)

** 과거에는 후비루가 인후의 기침 반사 수용체를 자극하여 기침을 유발한다는 가설에서 후비루증후군이라는 용어를 사용 하였으나, 후비루가 없더라도 다른 기전에 의하여 기침이 발생할 수 있어, 이 용어의 사용은 적절하지 않다

  • 정의: 코, 인후 및 부비동을 포함한 상기도의 자극, 염증 등이 원인이 되어 기침을 주증상으로 하는 증후군.

  • 원인: 알레르기 및 비알레르기 비염, 비부비동염, 인후염 등의 다양한 원인질환이 단독 혹은 복합되어 발생할 수 있다.

  • 임상 양상: 후비루, 인두의 Cobblestone 모양

  • 검사: 원인 질환 불명확하면 부비동 X선 통해 부비동염 감별

  • 치료

    • 원인 질환 명확: 원인 질환 (부비동염 등)의 치료

    • 원인 질환 불명확: 대증 치료 - 1세대 항히스타민, 비충혈제거제


[1] 2020 기침진료지침(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pg.62~63

기침형 천식과 호산구 기관지염

[기침형 천식]

  • 정의: 전형적인 천식은 기침, 호흡곤란 및 천명 등의 증상이 함께 나타나는데, 다른 증상 없이 기침만 두드러지게 나타나거나 유일한 증상으로 하는 천식을 기침형 천식(cough variant asthma)이라고 한다.

  • 진단: 기관지유발시험을 통한 기도과민성 확인

  • 호산구성 기도염증 소견(객담 호산구 > 3%, 호기산화질소 증가 등)도 진단에 도움이 된다.

  • 치료: 천식의 치료와 동일


[호산구 기관지염]

  • 정의: 기침을 주 증상으로 하며, 기침 외에 다른 천식의 증상이 없고, 가역적인 기도폐쇄 및 기도과민성이 없으면서 기도의 호산구염증 소견을 보이는 경우

  • 진단: 객담 호산구 > 3% + 천식 증상 X (기침 외에 다른 증상 X, 가역적인 기도폐쇄 X, 기도과민성 X)

  • 치료: 천식과 유사 → 흡입 스테로이드


[1] 2020 기침진료지침(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pg.68-70

추가 개념

부비동염

  • 정의: 부비동의 염증

  • 증상: 화농성 콧물, 후각저하, 안면통증, 기침

  • 검사: 부비동 X선 상 gas-fluid level (sinus에 찬 고름)

  • 치료

    • 대증치료: 1세대 항히스타민제, 비충혈제거제, 비강분무 스테로이드

    • 항생제(세균성 비부비동염이 의심되는 경우): amoxicillin/clavulanate


[1] Harrison 21e, pg.251-252

[2] 2020 기침진료지침(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pg.63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