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산소혈증
정의
저산소혈증: 혈액 내 산소 수준이 비정상적으로 낮은 상태. (SaO2, PaO2 등으로 측정)
저산소증: 전신 또는 특정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이 불충분한 상태. 산소 전달 감소 or 조직의 산소 소비 증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Oxygenation의 측정: pulse oximeter(SaO2, PR), ABGA
ABGA 결과의 해석
[1] UpToDate - Measures of oxygenation and mechanisms of hypoxemia
저산소혈증 감별진단
[감별순서] 1) PaCO2 확인 → 2) (A-a)DO2 계산 → 3) 산소 교정되는지 여부 확인
Hypoventilation alone
CNS depression (약물, CNS 이상)
Neuromuscular disease (ALS, GBS, spine injury 등)
Chest wall disease (flail chest, kyphoscoliosis)
V/Q mismatch (환기-관류비 불균형)
고농도 O2 투여 → PO2 개선
분당 폐포내로 들어가는 환기량(V)과 분당 폐포모세혈관으로 흐르는 관류량(Q)의 비율이 V/Q 1.0으로 균등하게 되어야 하는데, 불균형이 일어나 비정상적 가스교환이 이뤄진 것.
Ventilation 감소에 의한 V/Q mismatch: 천식, COPD, ILD
Perfusion 감소에 의한 V/Q mismatch: 폐혈관 질환
Shunt (단락)
고농도 O2 투여 → PO2 개선 안됨
Intrapulmonary Right-to-Left shunt: 관류량은 정상이나 폐포의 붕괴, 기도폐쇄등으로 환기가 안되어 폐포에서 혈액이 그냥 지나쳐 정맥혈이 동맥혈에 섞이는 경우
질환: Alveolar collapse(무기폐), intraalveolar filling(폐부종, 폐렴), ARDS
Intracardiac Right-to-Left shunt: right heart에서 left heart로 혈액이 섞이는 경우
질환: 심장 기형
[1] Harrison 18e, Figure 137-1
[2] Harrison 21e, pg. 272~273
Shunt vs V/Q mismatch
[Intrapulmonary shunt]
관류량은 정상이나 폐포의 붕괴, 기도폐쇄등으로 일부 폐포에서 환기가 안되어 (V=0) 산소분압이 낮은 혈액이 산소분압이 높은 혈액과 섞이는 경우
흡입산소분획을 높이더라도 환기가 되지 않은 폐포를 지나쳐 온 혈액과 섞인 후의 PaO2는 거의 증가하지 않음
[V/Q mismatch]
폐포 내의 환기량(V)과 폐포모세혈관으로 흐르는 관류량(Q)의 비율의 불균형
대기 산소 (FiO2 0.21)에서는 저산소혈증을 보이지만, 흡입산소분획을 높여주면 PaO2가 증가
PCO2와 minute ventilation
PaCO2는 체내 대사활동으로 인해 생성되는 CO2 량에 비례하며, 폐포에서 제거되는 CO2량에 반비례한다. 즉, Alveolar ventilation이 증가하면 PaCO2는 감소한다.
Alveolar ventilation = (Tidal volume - Dead space volume) x Respiratory rate
이므로, 체내 축적된 CO2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Tidal volume 과 Respiratory rate 의 증가가 필요하다.
Respiratory drive를 조절하는 medulla 에서는 동맥내 CO2분압을 감지하여 호흡수를 조절한다. 일반적으로 CO2가 1mmHg 증가하면 minute ventilation은 분당 2-5L 증가한다.
즉, 저산소혈증과 고탄산혈증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상황에서는 저산소혈증을 교정하기 위해 산소를 투여하고 (FiO2 높이기), 축적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위해 호흡수를 증가시키려는 노력 (minute ventilation 높이기) 이 필요하다.
단순 산소투여로 저산소혈증이 교정되지 않거나, 자가호흡만으로는 CO2 배출이 부적절한 상황이라면 적절한 호흡 보조요법 (NIV, MV)를 고려해야한다.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