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차성/이차성 부신기능저하증
1) 일차성 부신부전 (Addison’s disease): 부신자체 파괴
HPA축 말단 부신만 손상: Aldosterone 감소 → ACTH증가 → 피부색소침착O
원인: 자가면역성 부신염 (m/c), 선천부신과다증식(CAH, 21-hydroxylase 결핍), 부신 감염 (결핵, HIV 등), 양측성 부신절제 등
증상과 징후
2) 이차성 부신부전
H-P-A축 억제 → ACTH감소 → 피부색소침착X
원인: 뇌하수체 종양, 뇌하수체 방사선 조사, 뇌하수체 졸중/출혈 (시한증후군, 출혈성 경색 등), 만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 과다 (장기간 스테로이드 복용 중 약물 중단 48시간 후 발생) 등
증상과 징후
부신기능저하증 진단 및 치료
부신기능저하증 진단 알고리즘
진단
급속 부신겉질자극호르몬 자극검사 (Cosyntropin)
코신트로핀 (Corsyntropin=ACTH) 투여 후 30분-1시간 후 혈장 코티솔 측정
진단: 혈청 코티솔 ≤ 16-18 μg/d (450-500 nmol/L)
자극 검사 없이 Basal cortisol level ≤ 3 μg/d 이면 adrenal insufficiency를 의심할 수 있다고 uptodate에는 기술되어 있으나, harrsion 21판 기준으로는 cortisol의 일중 분비 변화나, 이차성 부신부전 환자에서 basal cortisol은 정상인 경우가 많아 stimulation test가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음.
감별진단: 혈장 레닌, 알도스테론, 부신피질자극호르몬 (ACTH) 측정
치료
일차성 부신부전 = Hydrocortisone, Prednisolone + Fludrocortisone
이차성 부신부전 = Hydrocortisone, Prednisolone
(혈압강하 또는 저혈당 경우에) 0.9% NaCl + 5% glucose
1개의 글
by
에니지등급
·
2024년 10월 7일
부신기능저하증 진단 알고리즘에서 보면
코신트로핀 test 후에 코티졸 수치 낮으면, 부신부전으로 보고 검사를 진행하는데
이차성 부신기능 부전 경우 HPA 축에서 H나 P의 문제라서, 외부의 ACTH(코신트로핀) 넣어주면, 부신은 자극해서 코티졸은 증가할 수 있지 않나요? 이미 HPA 축이 망가져서 외부 ACTH 넣어주어도 부신이 코티졸 분비 안하는지 질문드립니...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