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진단 및 분류
(1) 당뇨병 진단
1) 당뇨병 진단 기준
다음,다뇨,체중감소 + 무작위 혈당 ≥ 200mg/dL
공복 혈당(FPG) ≥ 126mg/dL
75g 경구당부하검사(OGTT) 2시간 후 ≥ 200mg/dL
HbA1c ≥ 6.5%
1 경우: 그 자체로 재검 없이 확진 가능
2 ~ 4 경우: 두가지 진단 기준을 동시에 충족시 확진 가능
2 ~ 4 경우 중 둘 중 하나만 진단 기준에 맞으면 둘 중 높았던 값을 재검
2) 임신성 당뇨병 진단 기준
1단계 접근법 : 공복 75g 경구당부하검사 (OGTT)
공복≥ 92, 1hr≥ 180, 2hr≥ 153 (1가지 이상시 진단)
2단계 접근법
선별검사:
비공복 50g 경구당부하검사(OGTT)
(언제든) = 1시간후 ≥ 140 (확진검사 시행)
확진검사: 100g 경구당부하검사 (OGTT) 다음중 2가지 이상 양성
공복≥ 95, 1hr≥ 180, 2hr≥ 155, 3hr≥ 140 “9580-5540”
3) 당뇨병 전단계 기준
공복혈당장애 (IFG) : 100 ≤ FPG ≤ 125
내당능장애 (IGT) : 140 ≤ OGTT ≤ 199
4) 1형 당뇨와 2형 당뇨
1형 당뇨 : 대개 35세 이전 (전 연령 가능), 자가항체 (GAD, IA-2, ICA), C-peptide: fasting 0.6 ng/ml 미만, stimulated 1.8 ng/ml 미만
2형 당뇨 : 비만형, 서서히 발현, 가족력, C-peptide: fasting 1.0 ng/ml 이상 ( < 1.7 ng/ml: 인슐린 분비능 저하 의미)
당뇨병 치료
Type 1 DM: 인슐린 주사 + 식사*운동요법
Type 2 DM: 초기에 식사*운동요법
+ Metformin (기본약) → 약추가 (기저질환에 따라 선택)
경구 혈당 강하제: 임신에서 금기, 신기능저하(Cr수치)시 주의깊게 사용
혈당강하제
→ 각 약들의 효과 및 부작용, 대표약 이름들을 꼭 기억하자
비구아니드 (Biguadnide) ⊃ Metformin
술포닐우레아 (Sulfonyurea) ⊃ Glimepiride “Gli-”
메글리니티드 (Meglitinide) ⊃ Repaglinide “-glinide”
싸이아졸리딘다이온 (Thiazolidinedione) ⊃ Pioglitazone “-glitazone”
나트륨포도당운반수송체-2억제제 (SGLT2-i)⊃ Dapagliflozin “-glifolzin”
알파글루코시데이스 (α-glucosidase inh.) ⊃ Acarbose “-bose”
디펩티딜펩티드분해효소-4억제제 (DPP-4i) ⊃ Siptagliptin “-gliptin”
글루카곤유사펩티드-1 (GLP-1 Rc agonist) ⊃ Exenatide “-tide”
질환별, 부작용별 약 묶어서 외우자 →
인슐린 치료
Type 1 DM, 임신성 당뇨, 급성 대사합병증 (DKA, HHS)
Type 2 DM에서 경구혈당강하제 병합요법으로도 안되는 경우
1) 투여 방법
공복혈당 조절 : 중간형(NPH), 지속형(Glargine, Determir)
식후혈당 조절 : 초속효성(Lispro, Aspart, Glulisine), 속효성(Regular)
2) 인슐린 용량의 조절
아침 공복혈당 높으면 → 저녁 중간형 insulin 조절
점심 식전혈당 높으면 → 아침 속효성 insulin 조절
저녁 식전혈당 높으면 → 아침 중간형 insulin 조절
취심 시간 중 혈당 높으면 → 저녁 속효성 insulin 조절
3) Somogyi 현상과 Dawn 현상
1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