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 > 빈혈

발작성 야간 색소뇨증 (PNH)

기본 개념

발작성 야간 색소뇨증 (PNH)

  • 원인 : GPI세포막 단백질(CD55, CD59)이 세포막에 부착되지 못해 혈구가 보체와의 비정상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용혈 현상 (용혈 적혈구막 파괴의 증가, 혈관내 용혈)

  • 야간에 용혈 현상이 증가하는 이유:  수면 중에 일어나는 호흡성 산혈증

  • 특징

    • 소변 헤모시데린 (+), 혈색소뇨 : 야간에 호발, 자고난 뒤 아침 첫 소변에서 혈색소뇨증 반복

    • Episodic hemolysis 반복 : 수술, 감염, 수면 등에 증가

    • 혈전증 호발 : Mesenteric venous thrombosis시 복통, 옆구리 통증

    • 쿰즈검사(항글로불린검사) 음성

  • 진단 : 말초혈액 유세포분석(Flow cytometry) 

  • 합병증 : Venous thrombosis, 감염, IDA 등

  • 치료

    • filtered RBC 수혈

    • 철, 엽산 공급

    • 항응고제, 혈전용해제 (혈전성 합병증 예방/치료)

    • Eculizumab : 항보체 제제, C5 Ab

    • 골수이식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