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 > 복벽

복벽 해부학

기본 개념

복벽

복벽을 이루는 구조물은 복직근 (Rectus abdominis)과 외복사근(Ext. oblique m.), 내복사근 (Int. oblique m.), 복횡근(Transversus abdomins m.)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궁상선 (Arcuate line)을 기준으로 다른 구조를 갖는다.

Arcuate line

  • 배꼽과 치골결합 중간 부위에 위치하는 원형 선

  • Arcuate line 에서 내복사근과 복횡근의 건막이 복직근의 앞으로 빠져나옴

  • External iliac artery에서 분지한 inf. epigastric artery는 arcuate line 에서 횡복근막(transversalis fascia)을 뚫고 rectus sheath로 들어가 혈류를 공급한다.
    복직근 안, 배꼽 주변에서 sup. epigastric artery와 문합한다.

  • 임상적 의의

    • 복벽이 구조적으로 지지가 약해지는 부위 → 복부전벽탈장 발생 가능

    • 복직근집 혈종(Rectus sheath hematoma): arcuate line 하방에서는 posterior rectus sheath가 얇아 shear stress에 취약해 혈종이 더 잘 발생하고, 출혈량도 더 많을 수 있음

백색선 (Linea alba)

  • 복직근의 정중앙을 세로로 지나는 두꺼운 근막

  • 임상적 의의

    • 상복부에서 혈관과 신경이 백색선을 뚫고 나와 피하지방층으로 주행 → epigastric hernia 발생 가능

    • 비만, 임신 등으로 인해 복직근 이개 (Diastasis Recti) 발생 가능

반월선 (Linea semilunaris)

  • 복직근의 양옆을 세로로 지나는 근막

  • 임상적 의의

    • 복벽이 구조적으로 지지가 약해지는 부위 → 복부전벽탈장 (spigelian hernia) 발생 부위 (탈장 > 배벽탈장 단원 참고)

배꼽 (Umbilicus)

  • 복벽 중 가장 얇은 부위로 선천성 탈장과 후천성 탈장이 발생할 수 있는 위치

  • 발생학적으로 omphalomesenteric duct와 urachus가 연결되어있던 부위

  • 임상적 의의

    • 선천성 탈장 (소아외과>배꼽탈장/배꼽탈출/배벽갈림증 단원 참고)

      • 선천배꼽탈장(congenital umbilical hernia)

      • 배꼽탈출(omphalocele): 발생과정 도중 복벽이 융합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피부층과 복벽층이 없고 장을 덮고 있는 viscera 만 존재한 상태로 배꼽부위에서 탈장이 발생하는 질환. 골격계, 위장관계, 신경계, 비뇨기계, 심폐 기형을 흔히 동반.

      • 복벽갈림증 (gastroschisis): 복벽의 결손으로 피부, 복벽층, 복막이 모두 없고 내장이 탈출되는 질환. Mesenteric rotation이 완전히 일어나지 않은 경우가 흔하여 mesenteric volvulus의 위험이 높음. 동반 기형의 빈도는 적음

    • 발생학적 구조물

      • Meckel’s diverticulum : omphalomesenteric duct가 배꼽과 소장에 연결되어 있다가 발생 과정 중에 퇴화하는데, 완전히 퇴화하지 않고 일부가 소장 게실로 남는 구조물.

      • Urachal remnant/cyst : urachus는 방광과 배꼽을 연결하다가 발생과정 중에 median umbilical ligament로 퇴화하는데, 완전히 퇴화하지 못하고 remnant나 cyst형태로 남는 구조물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