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 > 수혈

신선동결혈장제제 (FFP)

기본 개념

신선동결혈장제제 (FFP)

  • 정의: 전혈로부터 채혈 후 6시간 이내에 분리한 혈장을 동결시킨 혈액성분제제로서 모든 혈액응고인자를 함유하고 있어 혈액응고인자 결핍의 보충을 위한 투여를 주된 목적으로 한다.

  • 성분: plasma, 2, 5, 7, 8, 12, 13, fibrinogen 등

  • 구체적 수혈지침

    1. 지혈목적

      • 혈액응고인자의 부족에 의한 출혈이나 와파린 치료에 의한 심한 출혈시 사용

    2. 출혈 예방목적

      • 다수의 응고인자 결핍, 간기능장애, DIC

        • PT > 참고범위 중간값의 1.5배 (또는 INR ≥1.7)

        • aPTT > 참고범위 상한의 1.5배

        • 응고인자 < 30%인 경우 투여

        • (DIC) fibrinogen <120mg/dL 인 경우

      • 와파린 효과의 보정

        • 비타민 K 사용시 1시간 이내 개선 효과가 나타나나, 급성 출혈이나 응급 시술 등 긴급한 경우 FFP 투여 가능 (농축프로트롬빈 복합제제 사용권장)

        • PT > 1.5배인 경우 투여

    3. 특수 상황

      • 대량 수혈 (MTP) 시 희석성 응고장애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 RBC : PLT : FFP 를 1:1:1로 투여

      • TTP에서 치료적 혈장교환요법(therapeutic plasmapheresis)에서 치환용액으로 FFP를 혈장량의 1-1.5배 사용


[1] 2022 수혈 가이드라인 제5판. pg. 48-50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