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혈구 동종면역 (Red cell alloimmunization)
정의
동종 면역(Alloimmunization): 동종, 즉 사람 항원에 반응하여 생긴 항체의 발달로 획득한 면역
적혈구 동종면역: 적혈구에 대한 동종면역. 즉, 타인의 적혈구에 반응하여 적혈구에 대한 항체가 생김.
적혈구 동종면역으로 생긴 항체에 의해 수혈 중 부작용이나 임신 중 태아 용혈성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글에서는 적혈구 동종면역에 의한 임신 중 태아 용혈성 질환에 대해 알아본다.
[1] Williams 26e, pg.352
적혈구 동종면역에 의한 태아 용혈성 질환
기전: 태아의 특정한 적혈구 항원에 대해 산모가 항체를 가지고 있는 경우, 해당 항체가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 적혈구를 공격하여 발생
원인 항체
ABO incompatibility는 ‘신생아’ 용혈성 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이지만, ABO 항원에 대한 항체는 IgM 형태로 태반을 통과하지 않아 ‘태아’에서는 심각한 용혈을 일으키지 않는다.
태아 동종면역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항체는 Rh D항원에 대한 항체이다. (Minor antigen도 태아 동종 면역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데, 위험이 높다고 알려진 항체로는 Kell antigen이 있다.)
검사
첫 사전진찰에 산모 혈액형검사, 항체 검사(간접 쿰즈 검사) 시행
** 간접 쿰즈 검사는 환자의 혈청을 검사용 적혈구와 반응시킨 후 항인간글로불린을 추가하여 응집 반응을 관찰한다. 양성일 경우 적혈구에 대한 항체가 한 개 이상 혈액 내에 존재함을 의미한다. 직접 쿰즈 검사는 환자의 적혈구를 직접 항인간글로불린과 반응시켜 응집 반응을 확인한다. 양성일 경우 적혈구에 항체가 부착되어 있는 상태임을 의미한다.간접 쿰즈 검사 양성시 → 항체 종류 식별 및 농도(titer) 측정
항체 titer 1:16 이상 : 태아 용혈 위험 높음
항체 titer 1:16 미만 : 태아 용혈 위험 낮음
** 1:16이라는 수치는 항체의 종류마다, 병원마다 다른 값을 사용할 수 있음
** 예외적으로 Kell antigen 은 항체 농도가 중요하지 않음. 감작되기만 하면 낮은 항체 농도에서도 동종면역이 발생함
[1] Williams 26e, pg.352-353
Rh 부적합으로 발생한 적혈구 동종면역에 의한 태아 용혈성 질환
[용어 정의]
Rh blood group system: Rh antigen의 여부에 따라 혈액형을 분류하는 시스템이다. Rh라는 명칭은 Rh antigen의 여부를 확인하는 데에 rhesus monkey의 혈액을 사용한 데서 유래되었다. Rh antigen에는 45종류 이상이 있으며, 대표적인 5가지가 C, c, D, E, e antigen이다.
Rh positive / Rh negative: Rh antigen의 종류와 무관하게 Rh antigen이 검출되면 Rh positive, 검출되지 않으면 Rh negative라고 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그러나, Rh 동종면역으로 인해 수혈 부작용이나 태아 용혈성 질환이 발생하는 대부분의 경우는 D 항원과의 부적합이 원인이기 때문에 보통 Rh positive는 Rh D positive를, Rh negative는 Rh D negative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글에서도 동일하게 사용하기로 한다.
기전
Rh (-) 산모, Rh (+) 남편 사이에서 Rh (+)인 태아를 두번째 임신하는 경우에,
과거 Rh(+) 아이를 출산하며 D항원에 감작되어 Rh D 항체를 가지게 된 임산부가 두번째 Rh(+) 태아를 임신하게 되는 경우 임산부의 Rh D 항체가 태아의 적혈구를 공격하여 발생
아주 드물게, 태어날 때부터 감작되어 Rh D항원을 가지고 태어나는 사람이 있기도 함(Grandmother effect). 이러할 경우 첫 임신부터 태아동종면역이 발생할 수 있음
진단
위에서 설명한 적혈구 동종면역 검사(간접 쿰즈 검사 후 양성 시 항체 종류 식별 및 titer 측정)에서 anti-D 감작 확인시 → 배우자 혈액형, 유전형(genotype) 검사
DD 형 (homozygous) → 태아는 항상 Rh(+) (Rh D는 autosomal dominant 유전이다)
Dd 형 (heterozygous) → 태아는 Rh(+)이거나 Rh(-)일 확률 50%
태아 혈액형 검사 (배우자 혈액형이 heterozygous거나 unknown인 경우 시행)
양수천자, cfDNA, 제대혈채혈 (CVS는 fetomaternal hemorrhage 및 동종면역 악화 위험성으로 시행하지 않음)
태아 위험도 평가 (Rh (+)태아)
24주까지 매달 산모의 항체 역가 반복측정, 이후에는 2주마다 한번씩 측정
기준 역가 수치 (1:16) 도달할 경우 주기적 도플러 초음파 검사 (중뇌동맥 도플러)
주기적 태아 초음파 검사 : 태아 수종 (hydrops fetalis) 발생 여부 확인
처치
중뇌동맥 도플러 초음파에서 최고 수축기 혈류 속도가 1.5 MoM 이상일 경우
또는 태아 수종이 발생할 경우
: 중등도 이상의 태아 빈혈 시사 → 태아 혈액 검사태아 혈액 검사
태아 Hct < 30%일 경우 태아 수혈 권고, 30% 이상일 경우 추적 검사
(태아 수종이 발생할 경우 대부분 Hct < 15%으로 알려짐)태아 수혈: 34~35주 이전에 시행 (그 이후에는 수혈의 이점보다 분만이 지연되는 위험이 더 클 수 있기 때문)
분만
기본적으로 유도분만을 시행하나, 태아곤란을 보이는 경우 (ex. sinusoidal pattern) 제왕절개
수혈이 필요 없었고 MCA-PSV ≤1.5 MoM 인 경우: 37 - 38 주 분만
수혈이 필요하지 않았지만 MCA-PSV >1.5 MoM인 경우 : 35주 분만
수혈을 시행한 태아: 마지막 수혈을 34~35주 전에 시행하고, 수혈 3주 후 분만
[1] William’s obstetrics 26e pg. 352-356
[2] Management of Alloimmunization During Pregnancy, ACOG Practice Bulletin No. 192 2018.
[3]Prevention of Rh D Alloimmunization, ACOG Practice Bulletin No. 181 2017.
anti-D 동종 면역의 예방
[Routine Administration]
임신 제3삼분기 감작 예방: 감작되지 않은 Rh(-) 임산부에서 임신 28주차에 다시 한번 항체검사를 시행하고, RhoGAM (anti-D immunoglobulin) 투여
(임신 3분기에 asymptomatic fetal–maternal hemorrhage에 의해 alloimmunization이 생길 수가 있는데 이를 예방)분만시 감작 예방: 감작되지 않은 Rh(-) 임산부가 신생아를 분만했을 때 신생아 혈액형 검사를 시행하여 Rh(+)로 확인되면 분만 후 72시간 이내에 RhoGAM (anti-D immunoglobulin)을 투여
(delivery 과정에서 생기는 fetal-maternal hemorrhage에 의해 alloimmunization이 생기는 것을 예방)출산 직후 RhoGAM 투여가 없었다면, 이 사실을 발견하는 즉시 RhoGAM 투여
(분만 후 28일까지는 보호 효과가 있음)
[Potential Sensitizing Event가 발생한 경우]
Routine administration과는 별개로, 아래와 같은 Potential Sensitizing Event가 발생한 경우 72시간 이내에 RhoGAM 투여
Pregnancy Loss: 유산, 자궁외임신, 태아 사망
Procedures: 양수천자/융모막융모검사/태아혈액검사, 포상기태 긁어냄술
Other: 산전 출혈(절박 유산 포함), 분만(질식분만, 제왕절개), 태아외회전, 태반조기박리, 임신 중 복부 외상
[그 외]
Rh - 여성은 혈소판 수혈을 받거나 plasmapheresis를 시행하는 경우 감작 위험이 있어 RhoGAM 투여가 권고
참고) 2023 PE 산부인과 8번 질문 - 임신 15주에도 Rhogam 투여의 적응증이 되나요?
[1] William’s obstetrics 26e pg. 354, 356-357
[2] Management of Alloimmunization During Pregnancy, ACOG Practice Bulletin No. 192 2018.
[3]Prevention of Rh D Alloimmunization, ACOG Practice Bulletin No. 181 2017.
0개의 글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