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과 > 불임

불임 개요

기본 개념

불임 개요

  • 정의: 피임을 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성생활을 하면서 1년 내에 임신되지 않는 경우
    ** 임신이 불가능한 상태라기보다는 보통 난임 (subfertility)의 상태인 경우가 많아 난임이라는 용어가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 원인

    1. Male factor(남성 요인)

    2. Female factor(여성 요인)

      • Anovulation(배란장애)

      • Uterine factor(자궁의 이상)

      • Tubal factor(난관의 이상)

    3. Unexplained(원인 불명)

  • 평가와 치료

    • ACOG 및 ASRM (2021)에서는 다음을 권고 (여성의 불임증은 연령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므로, 연령에 따라 권고한다)

      • 35세 미만: 임신 시도 12개월 후엔 평가와 치료가 필요

      • 35세 이상 40세 미만: 임신 시도 6개월 후엔 평가와 치료가 필요

      • 40세 이상: 즉시 평가와 치료

      • 단, 다음과 같이 불임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상태에 해당된다면 즉시 평가와 치료

        • 불규칙한 월경 주기, 월경주기가 25일 미만, 희발월경/무월경, 월경 주기 중간에 출혈이 있는 경우

        • 자궁/난관/복막 자궁내막증, 3-4기 자궁내막증

        • 남성 불임이 의심되는 경우

        • 난소 예비능이 감소할만한 상태 (항암, 방사선치료 등)

    • 이외에도 교과서에서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즉시 치료를 시행하도록 권고

      • 심한 난관 질환

      • 불임 기간 4년 초과


[1] Berek and Novak’s Gynecology, 16e. pg. 2221

[2] 부인과학 6판, pg 516, 521

[3] Fertility evaluation of infertile women: a committee opinion, ASRM 2021.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