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기 > 판막질환

승모판 역류 (MR, Mitral Regurgitation)

기본 개념

승모판 역류 (MR)

  • 정의: 수축기 동안 승모판막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승모판막을 통해 혈류가 역류하는 질환

  • 분류/원인
    **AR과 마찬가지로 원인에 따라 급성과 만성의 양상으로 발생하게 되며, 만성의 경우엔 발생 기전에 따라 primary와 secondary로 나뉜다. 각 카테고리마다 임상양상과 치료가 달라지므로 꼭 분류를 구분해서 알아야한다.

    • 급성 MR: 감염성 심내막염, 심근경색 후 papillary muscle rupture, chordal/leaflet fail (MVP, IE), 둔상 → 급성 폐부종 ± 심인성 쇼크 진행

    • 만성 MR

      • primary (= leaflet, chordae의 failure)
        : myxoma, Rheumatic fever, 호전된 감염성 심내막염, 선천성, 방사선치료

      • secondary (= leaflet, chordae의 구조는 정상이지만, 다른 질환에 의해 판륜(annulus) 확장, LV remodeling, papillary muscle displacement, dyssynchrony 등이 발생하여 mitral valve의 기능적 failure가 발생)
        : 허혈성 심근병증, 확장성 심근병증, HOCM (with SAM), LA enlargement와 판륜 확장이 동반된 AF** 등
        ** AF에 의해 좌심방 압력이 증가하여 판륜 확장으로 MR이 생길수도 있지만, 반대로 MR에 의해 LA enlargement가 심해지면 심방 내의 전기 신호 혼란으로 AF이 발생할 수 있음

      → 대부분 무증상. 중증으로 진행할수록 피로, 활동성 호흡곤란, 기좌호흡 발생.
      폐고혈압이 진행할수록 간비대, 하지 부종, 경정맥 확장 등이 발생.

  • 신체진찰/검사실 검사

    • 심잡음: Apex 수축기 심잡음 (Holosystolic murmur, axilla로 방사)

    • 심초음파: MV에서의 역류 소견 확인

  • 치료

    • 급성 MR → Diuretics, vasodilator(nitroprusside)로 환자 안정화한 후 응급 수술 시행

    • 만성 MR

      • primary, chronic MR

        • 유증상 → 수술 (승모판 재건술 또는 치환술)

        • 무증상 & [LVEF≤60 or LVESD40] → 수술 (승모판 재건술 또는 치환술)

      • secondary, chronic MR

        • 우선 심부전 치료(GDMT)를 적극적으로 시행 (BB, ACEi/ARB/ARNI, SGLT2i, MRA, furosemide)

        • 약물치료에도 증상 발생 & LVEF <50% & LVESD ≤ 70mm, PASP ≤70mmHg인 경우 transcatheter MV repair 고려

      • AFib이 동반된 경우 anticoagulation 시행 (NOAC or warfarin)


** 참고 문항
2021 KMLE 4교시 18번: 심근경색 후 발생한 급성 MR
2020 KMLE 2교시 38번: primary chronic MR, 무증상, 중증

2022 KMLE 3교시 66번: primary chronic MR, 무증상, LVEF>60,LVESD<40
2021 KMLE 5교시 21번: secondary chronic MR, afib, 심부전
2022 KMLE 3교시 67번: secondary chronic MR, LV remodeling, 심부전
2018 KMLE 3교시 47번: HOCM with SAM, secondary chronic MR 동반


[1] Harrison’s 21e. pg. 1991-1997

[2] 2020 ACC/AHA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Valvular Heart Disease, pg.e124~e125

0개의 글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