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과 > 일차성 무월경

선천 부신 증식증 : 17α-hydroxylase 결핍

기본 개념

선천 부신 증식증: 17α-hydroxylase 결핍

** 선천성 부신 증식증(CAH) 총론은 링크를 참고하자.

  • 병태생리: 17a-hydroxylase 결핍으로 mineralocorticoid가 증가, glucocorticoid 및 adrenal androgen 결핍이 나타나는 질환

  • 임상 양상

    • 46,XX 와 46,XY 모두에서 발생가능, Androgen 결핍으로 항상 여성의 모습

      • 46,XX: 원발 무월경, 유방발달 없음, 자궁 있음.

      • 46,XY: 원발 무월경, 유방발달 없음, 자궁 없음

    • FSH 증가

    • ACTH 증가

    • Mineralocorticoid 증가: 나트륨 저류, 칼륨 손실, 고혈압

  • 진단

    • 혈중 progesterone ≥ 3ng/mL, 17-OHP≤0.2ng/mL, 디옥시코리티코스테론 증가

    • 확진검사: ACTH 자극검사 → 혈중 프로게스테론은 급격히 상승, 17-hydroxyprogesterone(17-OHP)은 변화없으면 확진 (원리는 맨 위의 도표 참고)

  • 치료(XX, XY): 코르티코스테로이드 + 에스트로겐, XX인 경우 프로게스테론 추가

    •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에스트로겐 보충을 하고, XX인 경우 자궁내막증식증을 예방하기 위해 프로게스테론을 함께 사용한다.


[1] 부인과학 6판, pg. 446, 450-451

1개의 글


by

말하는감자

·

2024년 8월 23일

XY 인 경우 생식샘이 testis로 분화되고 자궁 없고 testis의 leydig cell에서 테스토스테론이 나와서 남성 생식기로 분화되지 않나요? 17a-hydroxylase 결핍시 이 과정에서도 문제가 생기나요?

임상양상에 androgen 결핍으로 항상 여성의 모습이라는 점과 치료에 XY 인 경우에도 에스트로겐을 사용한다하여 여쭤봅니다.


글 작성

** 제목만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완성된 문장으로 작성해주세요.
예시) 초음파 (X) → 초음파 사진에서 PDA 소견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O)